earticle

논문검색

自然談話における共話の展開構造 ― 「先行発話-共話的反応」の機能的関係に注目して ―

원문정보

Developmental Structure of Co-construction in Natural Conversation: Focusing on the functional relationships between “preceding speech” and “co-construction response”

자연담화における공화の전개구조 ― 「선행발화-공화적반응」の기능적관계に주목して ―

李舜炯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nalyses the expanded form of co-construction and its functions by using natural conversations as data. As a result, speakers’ preceding speech expressions are divided into unfinished sentences, hesitation, and interruptions. Listeners’ co-construction responses are categorized into anticipation, paraphrasing, counter-questioning, interruption, and repetition. Moreover, their functions are grouped into confirmation, assistance, agreement, supplements, sympathy, counterarguments, and expressions of understanding. Our analysis of anticipation co-construction responses found that unfinished sentences functioned as confirmations, hesitation functioned as assistance, and interruption functioned as supplements. We found that the co-construction responses of speakers’ preceding speech for omitted or explicit parts often indicate an understanding of speakers’ utterances and also that prediction occurs only when anticipation functions as confirmation.

한국어

본고는 일본어 원어민의 음성 자료가 첨부된 자연담화 데이터를 가지고 화자와 청자의 상호 작용에 의해 이루어지는 공화(共話)의 전개 형식과 기능을 분석했다. 그 결과, 화자에 의한 선행 발화의 표현 형식은 「중도발화중지형(言いさし)」,「말주저형(言いよどみ)」,「차단에 의한 중지형(遮られ中止)」의 3가지로, 청자에 의한 공화적 반응형은 「선취완결형(先取り)」,「바꿔말하기형(言い換え)」,「되묻기형(問い返し)」,「차단형(遮り)」,「반복형(繰り返し)」의 5가지로, 그리고 기능으로는 「확인(確認)」,「상대돕기(相手助け)」,「동의(同意)」,「보충(補足)」,「공감(共感)」,「반론(反論)」,「이해표명(理解の表明)」의 7가지로 각각 분류 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에 따라 선행 발화를 이어받는 「선취완결형」의 공화적 반응형에 대해, 화자의 「중도발화중지형」의 경우는 「확인」의 기능, 「말주저형」의 경우는 「상대돕기」의 기능, 「차단에 의한 중지형」의 경우는 「보충」의 기능을 주로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 발화에 명시되지 않은 부분 또는 명시되어있는 부분에 대한 공화적 반응은, 선행 발화의 이해 표시를 위해 행해지는 경우가 많고, 예측 표시를 위해 행해지는 것은 「중도발화중지형」이 「확인」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 한정되는 것을 지적했다.

목차


 1.はじめに
 2. 先行研究の検討および問題の提起
 3. 研究方法
  3.1 本稿における共話と共話的反応
  3.2 調査データ
  3.3 調査項目
 4. 先行発話の表現形式の分析
 5.共話的反応の型および機能の分析
  5.1 先行発話で明示されていない部分に対する共話的反応
  5.2 明示されている発話に対する共話的反応
 6. 使用頻度の分析
  6.1 共話の出現狀況
  6.2 使用頻度からみた先行発話と共話的反応の機能的関係
  6.3 成立要因からみた共話の展開構造
 7.おわりに
 参考文献(Reference)
 <요지>

저자정보

  • 李舜炯 이순형. 慶北大學校人文學術院日本研究センター客員研究員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