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근대 일본의 아시아 인식에 대한 고찰 - 문부성 검정교과서『고등소학독본』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Contemplation on Modern Japanese Cognition of Asia : Based on the Advanced Elementary Reading Book

成玧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modern Japan, education is their main way of implementing development and civic integration. Especially, textbooks were utilized as the main tool to achieve Japanese objectives. In this research, of those nationalistic textbooks in Japan, we focus on the Advanced Elementary Reading Book that was published in 1887 by the Board of Education in Japan, considering the fact that values are easily formed during the upper grade in elementary school. The research especially focuses on the “Asia” part of the reading book to investigate the essence of how the Japanese government intended to convey certain views of Asia to their citizens. In the Advanced Elementary Reading Book, the topic that illustrates Japanese views on Asia is the “History” and “Geography” section in which both agendas list the information based on chronological order and generally expand information about their own nation to the information of the world. The arrangement in the section reflects a process of Anglicization in the development of history and justifies that the current situation is the highest stage to reach. This generally demonstrates strong nationalism, which is generally represented by historical fixation. In addition, the reading book compares their own nation with their neighboring nation in which Korea and China are generally degraded to enforce the values that Korea and China are objects of colonization in order to emphasize their position as a Western empire. Japan emphasized those values, namely the values that Japan is a part of the Western empire, thereby generally degrading the history and technology of Asia. In this way, in the Advanced Elementary Reading Book, Asian technology and history is forcefully included in the Japanese outline, and the reading book is utilized as a means to form the new state ideals based on the formation of modern nation states.

한국어

근대 일본은 ‘근대국가’로의 통합 및 발전을 위해 국민 교육을 이용하고 중시해 왔으며 그 도구로 교과서가 활용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내셔널리즘 커리큘럼을 책정한 검정교과서 중 국민의 대외 인식의 기저가 초등교육 고학년 시절에 형성되기 쉽다는 점을 감안하여 1887년에 문부성이 편찬한 『고등소학독본』의 제재별 구성과 아시아 관련 내용에 대한 고찰을 통해 근대 일본정부가 의도적으로 일반 국민의 의식에 수용・정착시키려고 했던 아시아 인식이 어떠한 것인지를 그 일단 규명하고자 했다. 『고등소학독본』의 제재별 구성 중 아시아인식이 가장 잘 드러나는 제재는 ‘역사’ 및 ‘지리’이며, 역사와 지리의 교재 배열 원리는 각각 시간의 흐름, 자국 중심 기술에서 아시아・세계로 확대되고 있었다. 이러한 배열 원리는 개화사적 발전 과정을 그대로 반영하는 것이며 현재의 도달점이 최고 단계이라는 사실을 정당화하고 역사를 고정화하는 내셔널리즘경향을 띄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일본의 대아시아 인식은 일본이 ‘근대국가로의 자기인식형성 과정’에서 서구 문화와 중국 문화를 상대화하면서 ‘일본중심주의’가 생겨나면서 아시아의 역학 관계 상 중국과 한국의 지위를 낮게 평가・고정시켰던 것이다. 그 배경에는 일본이 구미 제국과 대등한 지위에 오르기 위한 ‘아시아의 식민지 구상’이 존재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일본은 정치・경제・교육 등의 다양한 국면에서 이러한 의도를 실현하기 위한 수단을 모색하며 실천했다. 『고등소학독본』의 아시아 관련 기술은 일본적 ‘국가중심주의’의 틀 속에 내용을 억지로 맞추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이를 부정적인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국민의 대아시아인식을 창조하고 근대국가옹립의 방편으로 사용하여 새로운 국가 이념 창조를 하였던 것은 분명하다.

목차


 1. 시작하며
 2. 문부성편찬 검정교과서 『고등소학독본』
 3. 『고등소학독본』의 제재별 구성 및 각 제재의 교육적 역할
 4. 『고등소학독본』 텍스트 통해 본 동아시아 인식
  4.1 ‘역사’제재와 ‘지리’제재의 배열 원리
  4.2. 역사 및 지리 관련 텍스트에 나타난 아시아 인식
 5.마치며
 参考文献(Reference)
 <요지>

저자정보

  • 成玧妸 성윤아.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