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日本語の「行く」「来る」と韓国語の「가다kata(行ク)」「오다ota(来ル)」 - 話し手と聞き手が一緒に移動する場面を中心に -

원문정보

Japanese “iku” “kuru” and Korean “kata” “ota” : Focusing on the Scenes of Concurrent Movement of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일본어の「행く」「래る」と한국어の「가다kata(행ク)」「오다ota(래ル)」 - 화し수と문き手が일서に이동する장면を중심に -

韓京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search carried out over the past years could not explain scenes of concurrent movement of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scenes of concurrent movement focused on the psychological fact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aker and the arrival point) and the physical factor (the departure and the arrival point of space movement) to compare the usage of “iku”“kuru” and “kata”“ota.” Basically, “iku” and “kata” are used to express the movement associated with moving away from the departure point and “kuru” and “ota” to express the movement involving moving closer to the arrival point. However, in the usage of “iku” and “kuru” in the scenes of concurrent movement of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the relationship of the speaker and the arrival point is prioritized over the departure and the arrival point. Accordingly, if the arrival point is considered as the speaker’s territory, “kuru” is used even wh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are at the departure point and “iku” is used if the arrival point is not considered as the speaker’s territory. Because the usage of “kata” and “ota” focuses on the departure and the arrival point rather tha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aker and the arrival point, “kata” is used when the moving subject is at the departure point. Both “kuru” and “ota” represent the movement of moving closer to the arrival point regardles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aker and the arrival point. Thus, “iku” and “kuru” are more related to the psychological factors, whereas “kata” and “ota” are more closely connected to the physical factors.

한국어

종래의 선행연구에서는 화자와 청자가 함께 이동하는 장면에 대해서는 논의된 적이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화자와 청자가 함께 이동하는 장면을 중심으로 심리적 요인(화자와 도착점과의 관계)과 물리적 요인(공간 이동의 출발점・도착점)이라는 측면에서 「이쿠(行く)」 「구루(来る)」와 「가다」 「오다」의 사용에 있어서의 차이점을 명확하게 밝혔다. 기본적으로 「이쿠(行く)」와 「가다」는 출발점에서 멀어져가는 것을 나타내고 「구루(来る)」와 「오다」는 도착점에 다가가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화자와 청자가 함께 이동하는 장면에서의 「이쿠(行く)」와 「구루(来る)」는 출발점과 도착점보다 화자와 도착점과의 관계가 우선되기 때문에 도착점이 화자의 영역으로 인식되면 이동 주체인 화자와 청자가 출발점에 있어도 「구루(来る)」가 사용된다. 단, 도착점이 화자의 영역으로 인식되지 않을 때는 「이쿠(行く)」를 사용한다. 반면, 「가다」와 「오다」는 화자와 도착점과의 관계보다 출발점과 도착점이 우선되어 화자와 청자가 출발점에서 이동할 때는 「가다」가 사용된다. 「구루(来る)」와 「오다」는 화자와 도착점과의 관계를 의식할 필요가 없이 도착점에 다가가는 것을 나타낸다. 「이쿠(行く)」와 「구루(来る)」는 보다 심리적 요인과 관계하고 「가다」와 「오다」는 보다 물리적 요인과 관계한다.

목차

ABSTRACT
 1. はじめに
 2. 先行研究及び問題提起
 3.「行く」「来る」と「가다kata(行ク)」「오다ota(来ル)」
  3.1 話し手と聞き手が単独で移動する場合
  3.2 話し手と聞き手が一緒に移動する場合
 4.おわりに
 用例出典
 참고문헌(Reference)
 <요지>

저자정보

  • 韓京娥 한경아. 釜山大學日本硏究所硏究員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