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위안부’=소녀이야기와 국민적 기억 - 영화 『귀향』에 주목하여 -

원문정보

Comfort women = Story of a girl and national memory: With attention to the movie “Gwihyang” (Spirits' Homecoming)

최은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forming historical memory (which equates to our society as a whole) about comfort women, through films that reflect social values and public attention, as found in the movie “Gwihyang (Spirits' Homecoming)”. It also examines the problem with the story of the girl in the movie. The starting point is the critical review of a Japanese movie critic about two previous Korean movies that were made before the comfort women issue came to public attention. His comments will provide useful points to investigate the contradictions hanging over our perceptions towards comfort women today, together with the inherent problems with the existing movies about comfort women. Here, the movie “Gwihyang (Spirits' Homecoming)” is noteworthy as a historical film that helps us to be empathic towards the history of comfort women and which helps us to form a collective memory of the victims as being “us”. In addition, the very way that the girl, who is the main character, is portrayed in terms of complete victimization and inherent gender contradiction, hides or makes invisible colonial violence and violence against women. These are, in fact, the root of comfort women's issues and recognition of these will lead to a solution for the comfort women problem. It is necessary to increase awareness that the comfort women problem is about violence against women as a whole. There needs to be recognition that the problem between the two countries of Korea and Japan arose out of narrow-minded nationalism. In other words there is a need to break free of male-centered representation from both countries which limits the perspective from which to understand the conflict. Only from this perspective can the problem of sexual violence inherent in comfort women be understood and which can lead to a critical perspective about the nature of imperialism. Herein lies the possibility of solving the comfort women problem. However, the movie “Gwihyang” deals with the history of comfort women and has the potential to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collective memory that equates the victim with “us”. By reducing comfort women to a story of a girl, the movie also reduces awareness of the overall problem and convinces us that we are innocent victims of gender, thus having the limitation of passively accepting men's sexual desire and violence. The limitation of equating comfort women with the girl's story also leads to limits on how much colonial violence of imperialism can be criticized. This is why we must pay more attention to this issue, and do more than equate comfort women to the story of a girl, as is portrayed in the movie “Gwihyang”.

한국어

본고에서는 사회적 가치관과 대중적 시선을 반영하는 영화라는 미디어를 통해 위안부가 우리 사회의 집단적=역사적 기억으로 형성될 가능성을 영화 『귀향』에서 발견하고, 본 영화 속 ‘소녀’이야기가 가지는 문제점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그 출발점이 되는 것은 위안부 문제가 담론화되기 이전에 제작된 두 편의 한국영화에 대한 일본 영화학자의 비판적 시선이다. 그의 발언은 기존의 위안부 영화에 내재하는 문제점과 더불어 오늘날의 위안부라는 역사를 향한 우리의 시선에 드리워진 모순을 고찰하는데 있어 유효한 지점이 될 것이다. 여기에서 영화 『귀향』은 우리에게 위안부라는 역사에 공감하게 하고 피해자=‘우리’의 기억공동체를 형성해내는 역사적 미디어로서 주목할 만하다. 그리고 그 주인공인 ‘소녀’가 만들어내는 완전한 피해자성과 내재된 젠더적 모순이야말로 위안부 문제의 본질인 여성/식민지폭력을 비가시화한다는 점을 인식할 때 이는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시사로 연계될 것이다. 위안부 문제는 한국과 일본의 두 국가/민족 간의 문제라는 인식, 즉 양 국가를 대표하는 남성주체의 대립으로 이해하는 시각의 한계라는 편협한 국가주의에서 벗어나 남성중심의 담론의 틀을 부수고 여성폭력 전반으로 그 문제의식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이 시좌에서만 위안부에 내재하는 성폭력 문제는 제국주의의 본질에 대한 비판적 시좌로 연계될 수 있고, 여기에 위안부 문제의 해결의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위안부의 역사를 다루며 피해자=‘우리’라는 기억공동체의 형성에 기여할 가능성을 가지는 영화 『귀향』은 위안부를 ‘소녀’의 이야기로 환원함으로써 문제의식을 축소시키고 우리를 무고한 피해자성으로 무장시켜 남성의 성적욕망-폭력을 긍정하고 만다는 한계를 가진다. 위안부=소녀이야기의 한계는 위안부 문제의 한계이며 이는 제국주의의 식민지 폭력에 대한 비판의 한계로 연계된다. 우리가 영화 『귀향』과 위안부=소녀이야기에 보다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목차


 1. 들어가기
 2. 담론화 이전의 한일 양국 영화 속 ‘조선인 위안부’
  2.1. 남성욕망의 긍정과 식민지폭력
  2.2. 위안부의 연애=사랑이라는 스토리와 성폭력
 3. 『귀향』 : 위안부=‘소녀’이야기
 4. 나가기
 참고문헌(Reference)
 <요지>

저자정보

  • 최은주 오사카대학 문학연구과 초빙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