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색채가 없는 다자키 쓰쿠루와 그가 순례를 떠난 해(色彩を持たない多崎つくると、彼の巡礼の年)』 론 - ‘체념의 세계관’과 자성(自省)의 메시지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Colorless Tsukuru Tazaki and His Years of Pilgrimage』: Focusing On ‘the world perspective of renunciation’ and self - reflective voice

李寭仁, 尹惠暎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takes an in-depth look at how renunciation is described in a work focused on Aka, people with six fingers, Ao and Tsukuru who featured in 『Colorless Tsukuru Tazaki and His Years of Pilgrimage』 with the world perspective of renunciation Haruki mentioned in his speech. First of all, the world perspective of renunciation, which is deeply embedded in Japanese, can be identified from either of the features of majority or minority. The renunciation of minority is described through Aka who does not confide to being a homosexual himself and people with six fingers ultimately had to cut off their baby fingers. Besides, the renunciation of the majority is perceived through Ao who disregards the truth to continue maintaining ‘the harmonious and tidy community’ and people who are already moving within the framework set. This renunciation is well revealed from Tsukuru, the main character. He was suddenly informed about a rupture from his friends and he was very passive to establish the causes and leads his life as though he is has already died with an attitude of self-renunciation. However, he undertakes a pilgrimage with help from Sara to confront his trauma, which he has been avoiding in the meantime and he shows changes in himself by realizing his true value during his journey. The last scene, which describes how strongly Tsukuru recognizes what he wants for the first time and how much he is struggling for it, is full of suggestions In other words, Haruki described the world perspective of renunciation, which is widely spread in Japanese with multi-angles through characters in the work, but he suggests a potential possibility and criticism to the world perspective of renunciation through changes of Tsukuru.

한국어

본 논문은 하루키가 연설에서 언급한 ‘체념의 세계관’에 착목하여 『색채』에 등장하는 아카, 여섯 개의 손가락을 가진 사람들, 아오, 그리고 쓰쿠루를 중심으로 하여 작품 속에 ‘체념’이 어떻게 그려지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먼저 일본인들에게 깊이 내재되어 있는 체념의 세계관은 소수자나 다수자의 모습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 소수자의 체념은 보수적 환경에서 성장한 아카가 자신이 동성애자임을 밝히지 못하는 것이나 여섯 개의 손가락을 가진 사람들이 자신의 손가락을 잘라낼 수밖에 없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또한 다수자의 체념은 정해진 틀 속에서 움직이는 사람들의 모습과 ‘조화롭고 흐트러짐이 없는 공동체’를 유지하기 위해 진실을 외면했던 아오의 모습을 통해 알 수 있다. 이러한 체념은 주인공인 쓰쿠루를 통해서도 드러나는데 그는 갑자기 친구들에게 절교당한 뒤 그 원인 규명에 소극적인 태도를 취했으며 체념적인 태도로 죽은 사람과도 같이 살아간다. 그러나 사라의 도움으로 그동안 회피해왔던 트라우마의 진상을 직접 대면하기 위해 순례를 떠나고 그 과정에서 점차 자신의 가치를 발견하면서 변화를 보이기 시작한다. 작품의 마지막 장면에 쓰쿠루가 처음으로 자신이 원하는 것을 강하게 인식하고 노력하려는 모습을 보이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즉, 하루키는 일본인들에게 만연되어 있는 ‘체념의 세계관’을 작품 속 인물들을 통해 다각도로 조명하고 있지만 변화하는 쓰쿠루를 통해 체념의 세계관에 대한 비판과 더불어 그로부터의 극복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목차


 1. 머리말
 2. ‘체념’을 내재한 소수자들의 양상
 3. ‘자유의지’로 포장된 다수자들의 ‘체념’
 4. 쓰쿠루의 조형을 통해 보는 ‘체념의 세계관’ 비판
 5. 맺음말
 참고문헌(Reference)
 <요지>

저자정보

  • 李寭仁 이혜인. 충남대학교 인문대학 일어일문학과, 박사과정, 일본근현대문학
  • 尹惠暎 윤혜영. 충남대학교 인문대학 일어일문학과, 부교수, 일본근현대문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