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捷解新語』における副詞「懇ろ・随分・殊の外・仰山・ 一段・いかにも」とその対訳について

원문정보

Study of the Usage and Translation of 「NENGORO, ZUIBUN, KOTONOHOKA,GYOUSAN, ICHIDAN, IKANIMO」in “Cheopheasineo”

『첩해신어』における부사「간ろ・수분・수の외・앙산・ 일단・いかにも」とその대역について

趙堈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bout the adverbs used in “Cheophaesineo,” “nengoro,” “zuibun,” kotonohoka,” “gyousan,” “ichidan,” and “ikanimo” with further research into each of their meanings and the number of usages. The similarities and the differences of the adverbs are first analyzed, followed by the trend in the number of usages of the adverbs and the extent to which this has been modified. The adverbs are used to emphasize the extent of certain movements, attitudes, and behavior. The adverbs are then revised to improve the modification of the conversation. “Nengoro,” “kotonohoka,” and “ichidan” can be seen in both Kaesubon and Juŋkanbon, but the number of usages is declining, whereas the usage of “zuibun” is increasing. “Gyousan” and “ikanimo” are not used in the Kaesubon. “Ikau” is popularly used to modify words that describe the state of something, usually to represent the intensity of state. In addition, in Kaesubon, words such as “kuwashi,” “isai,” “seitashite,” “obitadashu,” and “kibishu” were revised to more appropriately relate to the dialog and more accurately reflect the degree of the meaning. “nengoro” was translated into Korean as “keukjinhi” and “kotonohoka” as “keoreuki,” but for other words “kajaŋ” was used without much revision in all of Genkanbon, Kaesubon, and Juŋkanbon.

한국어

原刊本에 나타나는 副詞「懇ろ、随分、殊の外、仰山、一段、いかにも」의 意味와 改修되는 動向에 관하여 조사 분석하여, 副詞 意味의 共通点과 相違点에 대해서 밝히고, 改修를 한 副詞에 대해서는 그 배경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副詞는 動作ㆍ態度ㆍ行動 등에 있어서 정도의 지나침(심함)을 强調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고, 対話의 내용에 보다 더 적합한 단어로 改修가 이루어져 있다. 「ねんごろ(懇ろ)」「ことのほか(殊の外)」「いちだん(一段)」은 改修ㆍ重刊本에도 나타나지만 용례의 비율이 감소하는 것에 대해서, 「ずいぶん(随分)」은 사용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ぎょうさん(仰山)」「いかにも」는 改修本 이후에는 사용되지 않았다. 状態를 나타내는 단어의 修飾에 「いかう」가 多用되고 있으며、状態에 있어서 정도의 지나침(심함)을 나타내는 단어로 자주 사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改修本에서는 対話의 내용에 보다 적합한 단어로 改修된 것이 보이고, 「御ねんいり(御念入), 御こんい(御懇意), くわし(詳し), おてあつさ(御手厚し), いさい(委細), せいたして(精出す), おびただしう(夥し), きひしう(厳し), どう(如何), はなはだ(甚)」와 같은 단어를 추가해서 정도의 지나침(심함)을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서 改修가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어의 対訳語는 「ねんごろ(懇ろ)」는 「극진히」, 「ことのほか(殊の外)」는 「거르기」가 사용되고 있지만, 그 밖의 단어에는 「ᄀᆞ장」이 사용되고 있으며, 原刊ㆍ改修ㆍ重刊本 모두 対訳語의 改修는 그다지 이루어지지 않았다. 改修가 나타나는 곳은 일본어의 副詞가 「せいたして(精出す), おびただしう(夥し), きひしう(厳し)」와 같이 보다 더 対話文의 修飾語로서 細分되어 표현되는 것에 따라서 그 단어에 상응하는 対訳語가 사용된 경우이다.

목차


 1. 序論
 2. 副詞「懇ろ、随分、殊の外、仰山、一段、いかにも」の辞典類の語義
 3. 副詞「懇ろ、随分、殊の外、仰山、一段、いかにも」の用例
  3.1 「ねんごろ(懇)」とその対訳語
  3.2 「ずいぶん(随分)」とその対訳語
  3.3 「ことのほか(殊の外)」とその対訳語
  3.4 「ぎょうさん(仰山)」とその対訳語
  3.5 「いちだん(一段)」とその対訳語
  3.6 「いかにも」とその対訳語
 4. 原刊ㆍ改修ㆍ重刊本における副詞「懇ろ、随分、殊の外、仰山、一段、いかにも」の改修
 5. 結論
 参考文献(Reference)
 <요지>

저자정보

  • 趙堈熙 조강희. 釜山大学、教授、日本語学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