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사이토 총독 저격사건과 재조일본인 일본어 문학의 반응

원문정보

Shooting Incident Involving Governor Saito Makoto and Response of Japanese-Language Literature

정병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contemplates on how a Japanese language magazine published by a Japanese publisher in the colonial Chosun printed the shooting incident of the Government-General Saitō Makoto and, furthermore,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literature created using this incident as a motif. Fictions that deal with "Government-General Saitō Makoto Shooting Incident" were quickly written by reporters who were either covering on site at the time or were harmed during the incident and had largely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instead of directly condemning the bomb throwing incident itself or Dr. Woo Kyu Kang, who caused the incident, they often portrayed the hometown memories recollected by the stories' characters who moved to Chosun or their family histories. Second, it is also the common characteristic of those works that the authors highlight the procedures of news reporting by journalists and their struggles against injuries and deaths in addition to comradeship and professionalism shown by these journalists. Third, the reason that these works revolve around these details is that the authors wanted to confirm the meaning of their existence through hometown, family and professional consciousness as media workers after experiencing this big, work-related incident while working as newspaper correspondents or magazine reporters after moving to the colonial Chosun. In particular, because they understood better than anyone the political flow and backdrop of the changed Japanese colonial general-government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they were reasking the meaning of their existence through the path of individual characters in stories, rather than making direct accusations about the bomb throwing incident.

한국어

이 논문은 식민지 조선에서 일본인이 발행하던 일본어 잡지가 사이토 마코토 총독 저격 사건을 어떤 식으로 기사화하고 있었는지, 나아가 이를 모티브로 창작한 재조일본인 문학의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사이토총독 저격사건’을 다룬 소설들은 현장에서 직접 취재에 임하였거나 실제 피해를 입었던 기자들에 의해 빠르게 창작되었는데 대체적으로 아래와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첫째, 폭탄투척사건 자체나 이를 일으킨 강우규의사에 대한 직접적인 비난과 규탄보다는 조선에 건너온 등장인물들의 고향의 회상이나 가족의 역사를 보여주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이들 작품들을 창작한 작가들은 기자들의 취재과정과 그들의 투병과정과 죽음을 부각하고 언론인으로서의 동료의식이나 직업의식을 보여주는 점도 공통된 특징이다. 셋째, 이들 작품들이 이러한 내용을 중심으로 전개하고 있는 이유는 그들이 식민지 조선에 건너와 신문 특파원이나 잡지 기자 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생사와 관련된 큰 사건을 경험하면서 자신들의 존재 의미를 고향과 가족, 나아가 언론 종사자로서의 직업의식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기 때문이다. 특히 이들은 3·1 독립운동 이후 변화된 조선총독부의 정치적 흐름과 배경을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그들의 시선은 폭탄투척 사건에 대한 직접적인 규탄보다는 등장인물 개인들의 궤적을 통해 자신들의 존재의미를 되묻고 있었다.

목차


 1. 서론
 2. 3ㆍ1운동 및 사이토총독 폭탄투척사건과 재조일본인 미디어
 3. 재조일본인 일본어 문학과 ‘사이토총독 저격사건’의 형상화
 4. ‘사이토총독 폭탄투척 사건’ 기술 작품으로 보는 재조일본인 삶의 궤적과 존재의미
 5. 결론
 참고문헌(Reference)
 <要旨>

저자정보

  • 정병호 Jung, Byeong-Ho. 고려대학교 일어일문학과 교수, 일본근현대문학ㆍ한일비교문화론 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