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예잡지 『三千里』와 재일코리안의 문화 정체성 ― 문학텍스트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Samchuly (三千里), the Whole Land of Korea』and the Cultural Identity of Korean Japanese : With a Focus on the Literary Text

문예잡지 『삼천리』와 재일코리안의 문화 정체성 ― 문학텍스트를 중심으로 ―

김환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amchuly』, the epic literary magazine that introduced a variety of topics in the 1970s and 80s concerning pending issues of Korean Japanese, including the Korea-Japan relationship and inter-Korean issues associated with the cultural identities of Korean Japanese. First of all, it is identified that 『Samchuly』 concretely presented a variety of historical and cultural issues between Korea and Japan from ancient to contemporary times, including an academically distorted historical awareness among the Japanese,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in Korea, inter-Korean reconciliation, the ethnic identity of Korean Japanese, Korean Japanese literature, the translation of Korean literature, pop music, and textbook issues. As far as literary works were concerned, the magazine introduced 47 creative poems, 37 novels, 860 critical reviews, and the translation of Korean literature into Japanese (65 poems, two novels, and seven folktales). This concrete introduction of these authors and literary texts is a valuable implication that indicates the potential of Korean Japanese literature from the perspective of glocalism of Korea’s Diaspora. In addition, 『Samchuly』 is in itself highly valued by the fact that the magazine is a large collection of as many as 50 volumes in total that were published for 12 years between 1975 and 1987. However, looking at it from a broader perspective of colonizer/colonized, central/peripheral, post-colonialism, and cosmopolitanism, it is a valuable cultural intersection that allows comparisons with a number of magazines, including 『Minju Choson』 after the liberation and carries no less significant educational implications in the ongoing process of turning Korea into a multi-ethnic/multi-cultural society.

한국어

본 논문에서는 1970년 80년대의 재일코리안의 사회를 둘러싼 한일관계, 남북문제 등 다양한 형태의 글들을 소개한 문예잡지 『三千里』의 특징을 재일코리안의 문화정체성과 연계해 짚어보았다. 먼저 『三千里』는 고대시대부터 현재까지 한일간의 역사ㆍ문화적 교류지점을 학술적으로 일본인의 왜곡된 역사인식, 한국의 민주화운동, 남북한 화해, 재일코리안의 민족적 아이덴티티, 재일코리안 문학, 한국문학의 번역, 대중가요, 교과서문제 등을 구체적으로 거론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문예적으로는 창작시 47편, 창작소설 37편, 평론 860편, 한국문학의 일본어 번역(시 65편, 소설 2편, 민화 7편) 등은 소개했고, 이러한 작가/문학텍스트에 대한 구체적인 소개는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글로컬리즘이라는 관점에서 재일코리안 문학의 가능성을 확인시켜주는 소중한 지점이라 할 수 있다. 또한 『三千里』는 12년간(1975년-87년) 통권 50호라는 방대한 분량의 문예잡지라는 점에서 그 자체로서도 충분히 가치가 인정되지만, 좀더 범박하게 식민/피식민, 중심/주변, 포스트 콜로니얼, 세계주의라는 관점에서 보면, 해방이후의 『민주조선』을 비롯해 많은 잡지와 상호비교 검토할 수 있는 소중한 문화지점이고, 현재진행중인 한국사회의 다민족/다문화사회로의 이행에 교훈적 의미도 내포한다.

목차


 1. 들어가기
 2. 『三千里』를 통해 본 재일코리안의 사회문화적 현상
  2.1 잡지 『민주조선』에서 『三千里』의 창간까지
  2.2 잡지 『三千里』의 형식과 내용
 3. 재일코리안 문학과 『三千里』
  3.1 『三千里』에 수록된 문학텍스트
  3.2 『三千里』의 문학사적 의미
 4. 나오는 말
 참고문헌(Reference)
 <要旨>

저자정보

  • 김환기 Kim, Hoan Gi. 동국대학교 문과대학 일어일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