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s to show that the Japanese and Korean languages employ different strategies when producing reduced text, such as in newspaper headlines. A headline, which summarizes what follows using a strictly limited space, needs to be highly concise. To achieve this, two different processes are assumed to occur. One is to remove information considered to be insignificant, the other is to compress the remaining pieces of information and formulate one compact form under the rules of each language. The forming process is about being well formed; thus, it can easily be assumed that it would be affected by the linguistic features of each language. To analyze these two processes, reduced text such as headlines are especially useful, because it is easy to confirm which information is missing and which remains. Confirming exactly what is missing from an ordinary text is often difficult or impossible. Therefore, headlines from the international issues section in Japanese and Korean daily newspapers were analyzed. The headlines were taken from Yomiuri Database and Dong-A Database from October 1 to October 31, 2013. In both languages, headlines use tactics which differ from those used in ordinary texts to compensate for the omitted information. Another similarity is the high usage of ‘verbal nouns’, a tactic which is spatially efficient as it becomes easier to remove some grammatical forms, and also to formulate ‘nonce-words’, which are temporary words with a compact form. The two languages also differ in their usage of postpositions and predicates. In Japanese headlines, some ending postpositions of headlines have a different meaning from those in ordinary texts. Moreover, the omission of predicates is frequently observed in Japanese for conciseness. In Korean headlines, however, it is more common to observe the omission of postpositions, which means that these two languages employ the opposite strategy when formulating the reduced form.
한국어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어와 일본어의 생략 및 축약의 실현 양상을 일간지 헤드라인이라는 텍스트를 통해 관찰하여 각 언어가 어떤 특징을 보이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헤드라인은 기사 내용을 간단히 요약해 보여주는 역할을 하는 특수한 텍스트로서, 지면상의 제약 등으로 인해 짧은 형식에 가능한 한 많은 정보를 담게 되는데 여기에는 우선순위가 낮은 정보를 빼는 ‘생략’ 과정과, 남은 정보를 해당 언어 내에서 적절한 형식으로 취합하는 ‘축약’ 과정이 관여한다. 이와 같이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경제성을 추구하는 경향은 어느 언어에서나 존재하겠지만 형식의 적절성에 대한 ‘축약’에는 개별 언어의 구조적 특징이 크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본 논문에서는 요미우리 신문과 동아일보의 2013년 10월 한달 간의 국제면 기사 헤드라인을 주된 자료로 삼아 한일 두 언어의 생략과 축약이라는 두 과정이 어떻게 실현되는지 그 양상을 관찰하였다. 양 언어 모두 일반 텍스트와는 다른 표기법을 사용하거나 한자어 동사성명사를 다용하여 정보 전달의 효율성을 높이려는 경향이 있었으며, 일본어의 경우 문장의 서술어를 생략하는 경향이, 한국어의 경우는 조사를 생략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다시 말해 일본어가 문장이 나타내는 사건 자체에 대한 정보를 생략하고 사건의 참여자에 대한 정보를 우선하는데 비해, 한국어는 사건에 대한 정보를 우선하고 사건의 참여자에 대한 정보를 생략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한일 두 언어가 생략 및 축약에 있어 반대의 전략을 취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목차
1. はじめに
2.背景と先行研究
2.1「省略」という現象について
2.2 省略研究における見出しテキストの意義
3.日韓の見出しデータの収集と分析の方法
4.日韓の見出しの分析
4.1 日本語見出しの特徴
4.2 韓国語見出しの特徴
5.日韓両言語における縮約の戦略
5.1 表記法とその有効性について
5.2 漢語系動名詞の使用について
5.3 助詞の使用と縮約戦略の違いについて
6.まとめと今後の課題
参考文献(Reference)
<要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