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非情の受身と「に」格動作主

원문정보

Inanimate-Subject Passive and Agent Marker「Ni」

비정の수신と「に」격동작주

韓静妍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work described in this thesis aimed to determine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agent marker 「ni」are also applied to the inanimate-subject passive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gent marker「ni」, affectivity, restriction of the animate-agent, and the indispensable agent. First, in the case of the inanimate-subject passive, it has been determined that neither the concept of affectivity nor its conflicting concept ─ neutrality and objectivity ─ is applied, unlike the animate-subject passive, which has been used to describe 「inconveniences」. In the case of the inanimate-subject passive, in most cases, 「ni」and 「ni-yotte」were inevitably being selected, and this depended on whether the agent is an indispensable constituent in the sentences, rather than being selected according to the styles of the sentences. In addit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restriction determining that an animate-agent cannot be marked with 「ni」was relatively rigid. However, in this thesis, it has also been noted that there is a problem with the opinion that the inanimate-subject passive developed because its structural change and expansion were caused by the use of「ni-yotte」in modern times, with the purpose of avoiding such a restriction. Lastly, this thesis clarifies that, unlike the animate-subject passive which mainly describes 「inconveniences」with the accompaniment of an agent marked with 「ni」, there are many instances in which the inanimate-subject passive accompanying the agent marked with 「ni」is used in the description of circumstances, and in the case of these instances of usage there is a tendency that the mark with「ni」is still preferred, even though the agent can be marked with 「ni-yotte」instead of 「ni」.

한국어

본고에서는 종래 논해져 온 동작주 표시 「に」의 성격이 비정물 주어 수동문에도 적용되는지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동작주 표시 「に」와 수영성(affectivity), 유정물 동작주 제약, 필수 동작주의 관계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우선 「피해」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어 온 유정물 주어 수동문과는 달리 비정물 주어 수동문의 경우에는 수영성이라는 개념도, 그에 대립하는 중립성ㆍ객관성이라는 개념도 적용되지 않음을 기술하였다. 비정물 주어 수동문의 경우, 「に」와 「によって」는 문체에 따라 선택되기보다는 동작주가 문장의 필수성분인지 여부에 따라 필연적으로 선택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또한 유정물 동작주를 「に」로 표시할 수 없다는 제약은 상당히 강하게 작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그러한 제약을 회피하기 위한 「によって」의 사용이 근대 이후 수동문의 구조적인 변화 및 확장을 야기하여 수동문의 발달을 가져왔다는 견해에는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に」로 표시된 동작주를 동반하여 주로 「피해」를 나타내는 유정물 주어 수동문과는 달리, 「に」로 표시된 동작주를 동반하는 비정물 주어 수동문은 상황 묘사에 사용되는 용례가 많으며, 이들 용례의 경우 동작주를 「に」대신 「によって」로 표시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に」에 의한 표시가 여전히 선호되는 경향이 있음을 밝혔다.

목차


 1.はじめに
 2.「に」格と受影性について
 3.「に」格と有情の動作主制約について
 4.「に」格と必須の動作主について
 5.おわりに
 参考文献(Reference)
 調査資料一覧
 <要旨>

저자정보

  • 韓静妍 한정연. 漢陽大学校 講師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