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テヤルㆍ〜テクレル’와 ‘〜어 주다’의 의미분석 - 파생적 의미기능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Semantic Analysis of ‘-teyaru, -tekureru' and ‘-eo juda' - Focus on Derivative Semantic Function -

박용만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a contrastive study about the benefactive construction of Korean and Japanese. Benefits are related to benefactive constructions. The study distinguished between two types of usage of benefactive constructions. The first is fundamental usage which is in close relationship with the benefit, and the other is derivative usage which is barely in relation to the benefit. The paper contrasted derivative usage in Korean and Japanese. The benefactive construction of Korean and Japanese is performed by [-어 주다(eo juda)] and [-てやる(te yaru)(あげる(ageru))][-てくれる(te kureru)], but there are more occurrences of derivative usage than fundamental usage. Besides, numerous studies were conducted in which derivative usage was considered from various perspectives. Based on those previous studies, the paper examined the difference in derivative usag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and the factors that cause the difference. The first factor that causes a difference is the direction of an action. In Japanese, [-てやる][-てくれる] is distinguished by the point of view, and many examples support the progress that abstractive stages are evenly processed. Compared to this, in Korean, the development of centrifugal direction, which is relevant to [-てやる], is more prominent than the centripetal direction of derivative usage, which is relevant to [-てくれる]. The second factor that is presented is . In Korean, [-어 주다] can be used not only in relation to the other person but also to the speaker him/herself. Moreover, the range of beneficiaries could be estimated wider than that of Japanese since there are ambiguous situations in which it is difficult to judge the beneficiary. In addition to this, some examples are given to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 of [-어 주다] in centrifugal direction and honorific expressions such as [-어 드리다(eo deulida)].

한국어

본고는 한일 양 언어의 <수익구문>에 관한 대조연구이다. <수익구문>에는 이익이 관련되게 마련인데 이러한 이익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일반적 용법을 <중심적용법>, 이익과의 관련성이 희박한 용법을 <파생적용법>이라 보아 구별하고 특히 <파생적용법>에 관한 한일대조연구를 목표로 하였다. 한국어와 일본어의 <수익구문>은 각각 [-어 주다]와 [-てやる(あげる)][-てくれる]가 담당하는데, <파생적용법>은 <중심적용법> 이상으로 그 수가 다양하고 그에 따른 분류에 있어서도 다각도의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고는 그러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파생적용법>에 나타나는 한일 양 언어의 차이가 무엇이며 그 차이를 만들어내는 요인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양 언어의 차이점을 유발시키는 첫 번째 요인으로는 <행위의 방향>이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어는 시점에 따라 [-てやる][-てくれる]를 나누어 사용하고 있고 그 추상화 과정 또한 고르게 진행되고 있음을 다양한 예를 통하여 알 수 있었다. 이에 비해 한국어의 경우에는 [-てくれる]에 해당하는 구심적 방향의 파생적용법보다 [-てやる]에 해당하는 원심적 방향의 발달이 두드러짐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요인으로 <누구(무엇)를 위한 수익인가>라는 항목을 제시하였다. 한국어는 타인에게 뿐만 아니라 화자 자신에게까지 [-어 주다]의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 더 나아가 수익자라 판단하기 애매한 경우까지 존재하는 등 일본어에 비해 수익자로 상정할 수 있는 범위가 넓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덧붙여 이러한 원심적 방향의 [-어 주다]의 발달은 [-어 드리다] 등의 경어용법의 발달과도 어느 정도의 관련성이 있음을 몇 가지 예들 들어 제시하였다.

목차


 1. 들어가며
 2. 선행연구
  2.1 일본어의 경우
  2.2 한국어의 경우
  2.3 한일 대조연구
 3. 사실관찰
 4. 수익 방향에 의한 차이
  4.1 원심적 방향
  4.2 구심적 방향
 5. 누구(무엇)를 위한 수익인가.
 6. 나오며
 参考文献(Reference)
 <要旨>

저자정보

  • 박용만 인하대학교 강사, 일본어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