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時間関係節に見られる日本語と韓国語の様相 ―「~中」と「~後」を中心に ―

원문정보

Some Aspects of Relative Clauses of Time in Japanese and Korean –Focusing on “~jung” and “~hu”

시간관계절に견られる일본어と한국어の양상 ―「~중」と「~후」を중심に ―

金庚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research paper, the relationship between 「~tsu」 and「~go」, which combines the Chinese character nouns in Japanese, and consideration of 「~jung」and「~hu」with regard to morphological, semantic, and syntactic features between Korean and the Japanese language, are examined. A brief summary of the results follows. The Korean「~jung」and 「~huJ, which correspond to the Japanese「~tsu」and 「~go」 may seem to be related morphologically and semantically, but not syntactically. In Japanese, the time󰠏related situation can be expressed in the type of 「chinese character noun+go」or 「chinese character noun+suru+go」. However, in Korean, the combination of Chinese and Korean such as 「chinese character noun+hu」is highly unnatural. Thus, the type of 「hada」can be used between Chinese letters and Korean to express a time󰠏related situation. Such differences in syntax between Korean and Japanese indicate that both languages stemmed from verbal Chinese characters. In other words, it is relatively easy to carry potentially verbal Chinese at the end, such as the type of 「~go」in Japanese, but it does not work in Korean. It indicates that in Japanese 「chinese character noun+tsu」and Korean 「chinese character noun+jung」which correspond to 「chinese character noun+tsu」, appear to have almost identical characteristics of usage– and this is unlikely between「~go」and 「~hu」- which could indicate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hu」which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 of time relation and 「~jung」which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 of aspect.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the type of「~jung」is relatively easy to use as a verb, because it has a stronger verbal expression than the type of 「~hu」.

한국어

본 논문에서는 일본어의 한어명사에 결합하는 「~中」과 「~後」의 관계를, 한국어의 「~중」과 「~후」와 관련해서 양 언어에 보이는 형태적, 의미적, 구문적인 특징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고찰 결과를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일본어의 「~中」과 「~後」에 대응하는 한국어의 「~중」과 「~후」의 형태적ㆍ의미적인 결합관계는, 대부분 완전하게 대응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지만, 구문적인 관계에 있어서는 양자의 차이가 보인다. 즉, 일본어에서는 「漢語+後」또는 「漢語+する+後」라는 두 형식에서 시간 관계의 표현이 가능하다. 이에 대응하는 한국어에서는 「漢語+후」와 같이 직접적으로 한어에 「~후」가 결합하는 형태에서는 문장으로서 상당히 부자연한 표현이 되기 때문에, 한어명사와 「~후」와의 사이에 「하다」형식을 사용해서 시간관계의 표현을 해야 한다. 이와 같은 구문상의 차이는 양 언어에 있어서 한어가 지니는 동사성에 기인하는 것이라 지적했다. 다시 말해 일본어에서는 한어가 지닌 잠재적인 동사성이 후치하고 있는 「~後」에 비교적 용이하게 계승되지만, 한국어에서는 곤란하다. 다음은, 일본어의 「漢語+中」이라는 형식과, 이에 대응하는 한국어의 「漢語+중」이라는 형식은 ─앞의 기술한「~後」와 「~후」와는 다른─ 거의 동일한 용법의 특성이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것은 「~후」가 지니고 있는 시간을 나타내는 특성과 「~중」이 지닌 상(aspect(相))적인 성질의 차이에 기인하기 때문이라고 말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해 「~후」가 지닌 의미보다 「~중」이 지닌 의미가 동사성(動詞性)을 보다 강하게 표현하기 때문에 「~중」이 비교적 용이하게 동사의 역활을 한다고 말할 수 있다.

목차


 1. はじめに
 2. 先行研究
  2.1 影山(1993)
  2.2 井上ㆍ金(1998)
  2.3 山田(1940)
 3. 接尾辞の素性
  3.1. 形態論的な性質による結合関係
  3.2. 漢語動詞と結合可能な「~中」と「~중」
  3.3. 漢語動詞と結合可能な「~後」と「~후」
  3.4. 動詞性の違いによる「~後」と「~후」
  3.5. 動詞性の違いによる「~中」と「~중」
 4. おわりに
 참고문헌(Reference)
 <要旨>

저자정보

  • 金庚洙 김경수. 仁荷大学校非常勤講師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