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오시마 나기사(大島渚)의 ‘조선인위안부’ 표상 - 전후일본영화 속 ‘위안부’와 영화 『일본춘가고(日本春歌考)』 -

원문정보

"Korean comfort women" Representation of Nagisa Oshima : Korean comfort women in the post-war Japan movie and Movie “nihon syunka-ko”

최은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I examine Nagisa Oshima's film “Nihon syunka-ko” to determine how Korean comfort women are represented in postwar Japanese cinema. Thus, the representation of Korean comfort women enables us to consider various implications and allows us to see the possible significance of the way in which the Korean comfort women are represented in the movie. After the defeat, the presence of a “Korean comfort woman”, Harumi, is found in the novel “Syunpuden” and the movie “Escape at Dawn”, as in the Oharu representation of the movie “Blood and Sand”, in which the male subject of the old colonial powers is eroticism, represented as the “angel of the skin”. Among these representational systems, the director Seijun Suzuki, who offers the possibility of criticism, and who is quite authoritative on Korean comfort women, is to direct another Tuyuko remake album “Syunpuden”. Nagisa Oshima “Nihon shunka-ko” is, to mediate the representation of Korean comfort women as a horizon of criticism, women / colonial war as being responsible for problems that have not been solved and violence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is further caused by the fact that it represents a problem of the Korean people, with the principle idea that the Japanese have been accused of the time that has been spent. Thus, the representation of Korean comfort women, the horrors of colonial violence and the empire of men against women, at the time of the Japanese society, became the problem of Japanese Koreans, even ideally speaking without the problem of “Korean comfort women” have a variety of hidden meanings and potential as a medium to criticize the attitude that the consumer / proprietary owner is representational of. The representation of the “Korean comfort women” of Oshima raised issues that mediate, and that enable us to discover the meaning and possibilities with the representation of the “Korean comfort women” at the high end and low end of society.

한국어

본고에서는 전후일본영화 속 ‘위안부’ 표상의 흐름 속에서 오시마 나기사 감독의 영화 『일본춘가고』에 주목하여, 기존 영화 속에 드러나는 표상의 한계와 더불어 비평의 지평으로서 ‘조선인위안부’ 표상이 가지는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전후영화 속에서 ‘일본군위안부’는 소설 「춘부전」과 영화 『새벽녘의 탈주』 속 하루미나, 영화 『피와 모래』 속 오하루와 같이 구종주국 남성주체의 시점에서 주로 조선인여성의 신체를 차용하여 에로티시즘화된 ‘맨살의 천사’로 표상되어 왔다. 이러한 표상체계 안에서 리메이크작 『춘부전』의 감독 스즈키 세이준은 전혀 다른 타자인 조선인위안부 쓰유코를 등장시켜 작품 전체에 대한 비판적 시좌를 제시한다. 오시마 나기사의 『일본춘가고』는 비평의 지평으로서 ‘조선인위안부’ 표상을 설정하여 일본제국주의의 여성/식민지에 대한 폭력과 청산되지 못한 전쟁책임 문제, 나아가 이로 인해 야기되는 재일조선인 문제를 드러내며 일본의 현재를 고발하고 있다. 이처럼 영화 속에서 ‘조선인위안부’ 표상은 남성의 여성에 대한 폭력과 제국의 식민지에 대한 폭력을 고발하는 장치이자, 일본사회의 재일조선인 문제, 나아가 공허한 울림으로 소비/전유되는 관념주의적 사상을 비판하는 매체로서 기능한다. 오시마의 ‘조선인위안부’ 표상을 매개로 하는 문제제기로부터 우리는 전후일본의 대중문화의 장에서 ‘조선인위안부’ 표상이 가질 수 있는 의의와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목차


 1. 들어가기
 2. 전후일본영화 속 ‘조선인위안부’
  2.1. 영화 『새벽녘의 탈주(暁の脱走)』의 하루미(春美) 표상
  2.2. 영화 『피와 모래(血と砂)』 속 오하루(お春) 표상
 3. 『일본춘가고(日本春歌考)』와 춘가=「만철소곡(満鉄小唄)」
 4. 1960년대 영화 속 ‘조선인위안부’ 표상의 가능성
 5. 나가기
 참고문헌(Reference)
 <要旨>

저자정보

  • 최은주 오사카대학 문학연구과 초빙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