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定家本土佐日記의 漢字사용 원리에 관한 고찰 - 青谿書屋本土佐日記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정가본토좌일기의 한자사용 원리에 관한 고찰 - 청계서옥본토좌일기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이승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describes an investigation of the principle behind using Chinese characters using methods focusing on “Seikeisyookubon” 『Tosanikki』. In the case of words that use the Chinese-style reading of a character (Onyomi), words that could not be transcribed with Kana were represented with Chinese characters at “Tekazihitsubon”. However, Chinese characters were restricted to a minimum at “Seikeisyookubon”. In contrast, it is possible to convey more information by taking advantage of Chinese characters, as is intentionally done in “Tekazihitsubon” “Kanji” and should preferentially be used if it can be differentiated from “kana.” The trend of using “Tekazihitsubon” 『Tosanikki』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first aspect is hundogeo “Kanjihyouki”, which is the base. Here in 『Tosanikki 』, which comes from the first hundogeo that has been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and in which you may then freely select a Chinese character, and Ghana. Russian and Chinese characters may be selected for the aesthetic effect or, even when in mixed use. This would depend on your preference. The labeled form, or “Kanadousi” and “Gosyaku”, should be avoided, or if you are bound to using Chinese Character Notation to a greater extent, you should accommodate “Waka”. In addition, an understanding of the use of case in Chinese Character Notation with respect to writing proper names of people and places would be useful.

한국어

본고는 青谿書屋本 『土佐日記』보다 많은 漢字가 사용되고 있음으로써 주목받아 온 定家自筆本 『土佐日記』의 한자사용 원리를 검토한 것이다. 定家自筆本은 音読語의 경우, 青谿書屋本과 동일하게 仮名로 표기할 수 없는 語만을 한자로 표기하고 있다. 하지만, 青谿書屋本에서는 漢字 表記를 필요최소한으로 제한했다. 이에 비해, 定家自筆本에서는 의도적으로 한자를 많이 이용하고, 한자의 장점을 살려 漢字와 仮名를 구분해서 사용하고 있다. 定家本 『土佐日記』의 漢字 사용의 경향을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먼저 훈독어는 漢字 表記가 기본이다. 여기에 『土佐日記』안에서 최초로 나오는 훈독어는 한자로 표기하고 그 다음은 한자와 가나를 자유롭게 선택하고 있다. 혹은 미적인 효과를 위해서도 한자·가나를 섞어서 사용하고 있다. 또는 動詞는 仮名로 표기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誤釈를 피하기 위해, 혹은 和歌의 行을 맞추기 위해서 한자표기를 하고 있다. 그리고 인명, 지명, 절명 등의 고유명사의 경우도 한자표기를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목차


 1. 서론
 2. 분석자료
 3. 선행연구
 4. 青谿書屋本과 定家自筆本의 漢字사용율 비교
 5. 青谿書屋本土佐日記에 있어서의 漢字의 사용상황
 6. 定家本土佐日記에 있어서의 漢字의 사용상황
  6.1 音読語
  6.2 訓読語
 7. 定家本 土佐日記에 보여지는 漢字사용의 경향
 8. 결론
 참고문헌(Reference)
 <要旨>

저자정보

  • 이승영 광운대학교 부교수 일본어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