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mobile application to search and upload images which use tagging information to create a direct link to the meaning of a word. In this paper, we use the term ‘gesturing’ (as opposed to ‘gesture’) which means ‘movements of the arms and hands and are closely synchronized with the flow of speech’ (McNeil, 1992:11). ‘Gesturing’ differs from ‘gesture’ in the sense that ‘gesturing’ is a process that enables the meaning of a word to be visualized by means of images that are vividly expressed by non-verbal elements such as concrete acts, objects, and tools. The ability to visualize the meaning of a word by way of gesturing can be foreseen to have many educational and learning benefits (especially motional verbs which will be the focus of this research). The images that are being photographed and uploaded by the mobile application developed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will be combined with the image database which has already been developed by the meta image search engine (-LEE & HAN (2011)-).
한국어
본 연구은 태그 정보를 통하여 단어의미와 직결된 이미지를 검색하고 업로드할 수 있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팔, 손의 움직임, 그리고 발화의 흐름과 연동되어 나타나는 기존의 ‘제스쳐(gesture-McNeil, 1992:11-)와 대비된 ‘제스쳐링(gesturing)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였다. 제스쳐링은 구체적인 행위, 대상, 도구 등과 같은 비언어적인(non-verbal) 요소를 사용하여 단어의 의미를 실제 언어활동과 최대한 흡사한 방식으로 시각화·형상화 시킨다는 점에서 기존의 제스쳐와는 차별화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언어습득, 특히 제2외국어의 습득(Second Language Acquisition)에 있어서 무의미한 제스쳐가 아닌 의미와 직결된 제스쳐의 병행이 단어의 의미복원에 유효한 교육적·학습적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되는 제스쳐링 이미지는 기존의 이미지 데이터베이스(2011(이ㆍ한))에 통합 관리·운영된다.
목차
1. 들어가며
2. 기억(memory)과 제스쳐(gesture) 효과
3. 동작동사 구현과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
4.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유용성
5. 끝내며
참고문헌(Reference)
<要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