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한국어
본 논문은 A裏AB로 대표되는 AXAB 중첩어 출현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 알타이어의 영향이며 元代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면, 이러한 어휘는 북방 방언에 주로 분포하고, 남방 방언으로 갈수록 그 사용분포가 줄어들 것이라는 ‘AXAB 중첩어 확산 가설’을 중국 방언에서의AXAB 중첩어의 분포를 통해 증명하고자 한다. 10개의 방언구 가운데 官話, 晉語, 吳語, 徽語, 湘語, 贛語, 平話는 AXAB의 존재 가능성이 모두 50% 이상이며, 이 가운데 湘語는 92%에 달한다. 그러나 남방방언에 속하는 客家語, 閩語, 粵語에 AXAB 중첩어의 존재가능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들 방언구에 속하는 방언지점 가운데 客家語의 安遠과 閩語의 石陂, 粵語의 玉林은 모두 AXAB가 존재하는 감어, 오어, 평화와 인접해 있는 특징을 보이며, 특히玉林은 AXAB의 존재 가능성 자체가 매우 낮다고 봐서 AXAB가 존재하지 않는 방언지점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客家語의 下洋은 하문 부근 연해지역에 위치하지만, 외국에 거주했던 화교들의 귀국으로 인한 언어접촉이라는 사회적 요인으로 AXAB 중첩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중국어
本文试图通过对汉语方言的分布情况考察来阐明作为 “AXAB”式典型的 “A裏AB”重叠形式, 如糊裏糊塗、古裏古怪等, 并不是汉语自身发展的产物, 而是受到金元时期阿尔泰语中 “AXAB”形 式的影响而发展起来的。也就是说, 如果导致 “AXAB”重叠式出现的最重要的原因是阿尔泰语的 影响, 那麽这種形式的词汇就会主要分布在北方方言中, 而且越往南越少。中国的方言中, 除了 “A裏AB”以外还有 “A的AB”(老的老实: 官话, 湖北天门)、“A知AB”(忽知忽露: 晋语, 山西忻 州)、“A连AB”(糊连糊涂: 晋语, 河南安阳)、“A個AB”(结個结实: 赣语, 江西新余)、“A古AB”(梆 古梆硬: 赣语, 江西吉州)、“A肌AB”(著肌著真: 赣语, 湖北大冶)等形式, 本文的研究对象为所有的 “AXAB”重叠式。 为了论证本文的论點, 本文将汉语方言分为官话、晋语、吴语、徽语、湘语、赣语、客家语、 粤语、闽语、平话10種, 对212個方言點中 “AXAB”形式的存在状况做了调查, 结果如下图显示, 并 将存在 “AXAB”形式的地区在地图上作出了标记。通过上面的图表可知, “AXAB”形式在南方方言的客家语、闽语、粤语中的分布很少(17%以下), 而在晋语、官话地区及與官话区临近的中部吴语、湘语、徽语、赣语中的分布占到了57-92%。这样 的事实, 可以被视为 “AXAB”形式的重叠词汇是受到阿尔泰语的影响, 在中国北方最初开始使用的 旁证。
목차
1.1 문제의 제기
1.2 연구 방법
2. AXAB 중첩어의 분포와 특징
2.1 방언구별 AXAB의 분포 상황
2.2 방언구별 AXAB의 특징 분석
3. ‘AXAB 중첩어 확산 가설’의 검토
3.1 客家語
3.2 閩語
3.3 粵語
4. 결론
參考文獻
中文摘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