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몽골 고고학조사의 특징과 현황

원문정보

The Characteristics and Understanding of Surveys in Mongolian Archeology

한진성, G. 에렉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 of archeological surveys in Mongolia, the academic backgrounds of their formation, and the administrative and practical procedures and processes of excavation surveys, thus building a framework to perceive and understand Mongolia's archeology in an objective manner. Mongolia is one of the most active regions in Eurasia in terms of joint overseas surveys. It holds such great importance not only for its significance in the archeology of Eurasia in the world history, but also for its geographic location to represent the globalization of Korean archeology that is emerging in the Korean academic circles. Mongolia has a small population for its vast area, and its summer is dry and short. Given those conditions, outdoor surveys are conducted in grassland or deep in the mountains. The natural environment of Mongolia exposes people to much higher risks of natural disasters and safety accidents than South Korea and imposes many limitations on the process of planning and carrying out a survey. The archeology of Mongolia made academic growth under the influence of socialist states including Russia on the outside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end of the 20th century. On the inside, however, they made an inquiry and conducted an archeological survey on the origin and history of Mongol people, thus establishing their own identity. They started to do even more active joint surveys with nations around the world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order and the changes to the identity of the Mongolian state in the 1990s and have increased their international capabilities based on the know-how they have obtained in the process. These multilateral and international characteristics are well reflected on the country's legislations and practical procedures to conduct a survey on buried cultural assets. Now is the time to grow out of the old prejudice that Mongolian archeology will be similar to Russian archeology. Going through various changes, it has similar survey methods to South Korean archeology in very many aspects and especially shares a common trajectory of establishing people's identity by connecting material culture to history. They have enough potential to make exponential development along with the advancement of modern technologies, in which aspect prior knowledge about Mongolian archeology will propose a shortcut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joint surveys between South Korea and Mongolia in the future.

한국어

이 글의 목적은 몽골 고고학조사의 환경 및 학문적 형성 배경, 그리고 발굴조사 의 행정 및 실무절차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몽골 고고학을 객관적으로 인식하고 이해하 는 틀을 마련하는 것이다. 몽골은 유라시아에서 해외공동조사가 가장 활발한 지역 중 하나로서, 유라시아 고고학에서 차지하는 세계사적 의의뿐 아니라 우리 학계에서 대두 되고 있는 한국 고고학의 국제화를 상징하는 지역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몽골 은 넓은 면적에 비해 적은 인구와 건조하고 짧은 여름의 조건에서 초원 또는 깊은 산 속 에서 야외조사를 실시한다. 이러한 자연환경으로 한국보다 자연재해와 안전에 대한 위 험이 월등히 높고, 조사계획수립과 진행과정에서 많은 제약이 따른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말까지 몽골 고고학은 외형적으로 러시아를 비롯한 사회주의권 국가의 영향을 받으며 학문적으로 성장했다. 하지만 내부적으로는 몽골인의 기원과 역사에 대한 탐구 에 기초한 고고학조사를 진행하면서 스스로의 정체성을 구축해왔다. 1990년대 이후, 소련질서의 붕괴 및 몽골 국가정체의 변화로 세계 각국과의 공동조사가 더욱 활발해지 고, 이러한 과정에서 체득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국제적 색채를 띠고 있다. 이렇듯 다변 적이고 국제적인 특징은 매장문화재 조사법령과 실무절차에도 잘 반영되어있다. 이제 부터는 몽골 고고학이 러시아고고학과 유사할 것이라는 선입관을 탈피할 필요가 있다. 변모과정에서 한국의 조사방식과도 상당히 유사한 부분이 많으며, 특히 물질문화와 역 사를 연결하여 민족의 정체성을 밝히려는 점은 매우 흡사하다. 뿐만아니라 그들은 현대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비약적으로 발달할 여지가 충분하다. 이러한 견지에서 몽골 고고 학에 관한 사전지식은 향후 한-몽 공동조사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첩경이 될 것 이라 기대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몽골 고고학조사의 배경
  1. 자연환경
  2. 몽골 고고학의 성립과 발전
  3. 몽골 고고학의 주체 및 자료의 접근
 Ⅲ. 매장문화재조사 관련 법령 및 조사절차
  1. 매장문화재조사 관련 법령
  2. 고고학조사의 절차
 Ⅳ. 맺음말-몽골 매장문화재 조사의 전망을 겸하여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시행규칙

저자정보

  • 한진성 Han Jin-Seong. 경희대학교 사학과(고고학전공) 박사과정
  • G. 에렉젠 Gelegdorj EREGZEN. 몽골과학아카데미 역사학ㆍ고고학연구소 흉노연구실 연구실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