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달성 성하리 제1호분을 통해 본 구획성토의 諸觀點

원문정보

Perspectives on Compartmentalized Embankment in the Analysis of Dalseong Seongha-ri Tomb No.1

달성 성하리 제1호분을 통해 본 구획성토의 제관점

박현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or Seongha-ri Tomb No.1, a quartering-based and tiered approach to soil scraping was employed in the 3D examination of tumulus construction patterns while retaining as many element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tumulus as possible. The bags of soil, which have been used as materials for compartment, were preserved in the shape of clay rim, forming a certain line. Based on this, a fragment of compartmentalized embankment could have been identified. This paper considers my own contemplative study of the compartmentalized embankment patterns in Dalseong Seongha-ri Tomb No.1, which was not mentioned in the report. Compartmentalized embankment of Dalseong Seongha-ri Tomb No.1 consists of radial and annular compartments. The radial compartment is a sequential compartment, where the order of the compartment can be found in each burial mound tumulus that has been compartmentalized, atunequal intervals. The annular compartment, unlike the radial compartment, does not have a line of soil bags, but it has been found in the scattered soil bags, stone circles, and from the summit of earthen mounds. The analysis of radial compartment is based on an approach to the original functions of soil bag formation that serves as a valuable relict of the reasons for the sequential compartment employed between burial mound tumuli as well as the inequality of surface area across sections, which allows the radial compartment to be distinguished between planned compartment and improvised compartment. Previous studies tended to deny the role that the improvisational efficiency-based compartmenthas as a material for compartmentalization, or they tended to describe it with other terms, different from the terms indicating compartment such as division or partition; however, they did not place too much emphasis on it. If the types of the radial compartment can be classified as in this paper, the underlying concept of “number of compartments = number of tomb builders” will make it possible to validate existing argumentsthat the number of compartments increases with hierarchical levels such as the size of burial mound or decreases over time. In addition, such approach allowed this paper to consider the construction of stone circles; and it was concluded that each stone circle was built at the time of compartmentalizing the burial mound tumulusin accordance with the radial compartment of the tomb, rather than enclosing the burial mound with a single circle at once. The annular compartment of Seongha-ri Tomb No.1 is found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center. This interval would have been based on the measuring units of the time, buta range of evidence - such as the scale of burial mound, which seems little related to measurement units used at that time, the characteristics of burial mound located on the slopes, and the fact that soil was mainly used as embankment material – suggests that variable measuring units that utilize various physiological measures such as tomb builder’s body size must have been used.

한국어

하리 제1호분은 4분법을 기본으로 계단식 제토법을 이용하되, 봉분의 축조와 관련 있는 요소는 최대한 보존하여 봉분축조양상을 입체적으로 살피며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 때 드러난 구획재로 사용된 토낭열이 일정한 열상을 이루어 점토대로 유존하여 구획성토의 일단이 확인되었는데 이 글은 달성 성하리 제1호분 구획성토 양상의 검토를 통해 보고서에서 언급하지 못한 필자만의 소고를 밝힌 글이다. 성하리 제1호분의 구획성토는 방사상구획과 환상구획으로 이루어졌다. 방사상구획은 구획된 각 분구에서 선후가 발견되는 축차성토가 이루어졌으며 그 간격에도 불균등이 확인되었다. 환상구획은 방사상구획과 달리 토낭열을 이루지는 않지만 점재된 토낭과 호석, 토제 구역의 정점 등에서 확인되었다. 방사상구획에서 분구 간 축차성토의 연유와 구역간 면적의 불균등성을 유존하는 토낭열의 원래의 기능적 면에 대한 접근으로 해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방사상구획을 기획에 기초한 구획과 즉흥적 효율에 기초한 구획으로 분별할 수 있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즉흥적 효율성에 기초한 구획의 경우 구획재로서의 역할을 부정하거나 단순히 분할, 구분 등 구획과는 다른 용어로 설명하려는 경향은 있었으나 이를 중요시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방사상구획의 종류를 본고와 같이 구분할 수 있다면 “구획수=조묘군의 투입 수”라는 개념이 기저에 깔려 봉분의 크기 등 위계에 따라 구획수가 많아지거나 시간이 흐를수록 구획의 수가 줄어든다는 기존 논지의 타당성을 논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와 연계하여 호석의 축조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었는데 호석은 봉분 주연에 크게 한 번에 두른 것이 아니라 고분의 방사상구획에 맞추어 각 분구의 작업 시 각각 축조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성하리 제1호분의 환상구획은 분중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확인된다. 이러한 간격은 당시의 영조척에 의거하였을 것이나 성토재로 토재가 주로 이용되고, 경사지에 위치하는 고분의 특성, 당시 영조척과 큰 관계가 없어 보이는 고분의 규모 등을 보았을 때 조묘군의 신체를 이용한 가변적인 영조척이 사용되어진 것으로 판단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구획성토 인식 재고
 Ⅲ. 성하리 제1호분의 구획성토
  1. 성하리 제1호분의 축조공정과 구획성토 양상
  2. 성하리 제1호분 구획성토 검토
 Ⅳ. 성하리 제1호분을 통해본 구획성토
  1. 축차성토의 의미와 방사상구획의 성격
  2. 구획성토와 호석의 축조시점
  3. 성하리 제1호분 환상구획의 기준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현정 Hyun-jung Park. (재)대동문화재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