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 of Cultural Capital on Fashion Style and Color Image Orientation
초록
영어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ultural capital on the diversity and tendency of fashion style and color tone image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variables. The target consumers are females in their late 50s to early 60s. Methods Data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SPSS 18.0 Window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factor analysis,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validity of the measures used to measure variables. Cronbach's alpha was calculated to analyze the reliability of each factor. Result The higher the cultural capital, cultural activities, and education level, there was higher tendency to prefer more color images. The study also found out that only the economic capita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iversity of fashion style and for cultural capital, only cultural activities had an impact on preferred color images. Moreover, when the tendency of conspicuous consumption was high, the number of preferred color images increased by about 2.5 times. Conclusion Both Economic and cultural capital have an influence on fashion style and color images for those in their 50s and 60s. Cultural activity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factor that influences the variables. Hopefully this study provides useful information for marketing activities and fashion manufacturers’designs.
한국어
연구배경 본 연구의 목적은 50대 후반에서 60대 초반까지의 여성소비자 30명을 연구대상으로 마케팅 소비자행동분야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문화자본이 패션스타일 성향과 컬러 이미지 성향 등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자료분석은 SPSS 18.0 f0r Windows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변수들의 측정에 사용된 척도들의 타당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측정항목들을 대상으로 요인분석과 ANOVA,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수행하였으며, 각 요인의 신뢰도를 분석하기 위해 Cronbach’s α 값을 산출 하였다. 연구결과 문화 활동 종류가 많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선호하는 컬러이미지는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자본만이 패션스타일의 다양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 활동만이 선호컬러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과시소비성향이 높으면 선호컬러 이미지가 2,5개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경제자본과 문화자본이 50~60대 세대들에게는 패션스타일과 컬러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문화예술 활동은 변인들간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패션산업의 디자인과 마케팅활동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Broudieu의 자본개념
2.2. 문화자본과 경제자본의 패션
2.3. 과시소비성향
2.4. 패션스타일
2.5. 컬러이미지
3. 연구방법 및 연구절차
3.1. 연구모형 및 가설
3.2. 주요 변인의 정의 및 측정도구
3.3. 연구 대상 및 분석방법
4. 연구결과 및 논의
4.1. 패션스타일 요인분석
4.2 컬러이미지 요인분석
4.3. 과시소비성향 요인분석
4.4. 상관관계 분석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