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국립 뮤지엄 숍의 한글 문화상품 디자인 방향성

원문정보

Hangul culture product design direction of national museum shop

조재윤, 임경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ackground Hangeul has carried out the role of core medium of outstanding korean image that replaces the chinese alphabet-based auspicious characters as the major material of cultural product designs of the past. Under this point of view, the study is made for the cases and status of cultural product of Hangeul motive to present the direction to facilitate the Hangeul cultural products and make correct advancement. Methods The study is aim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ngeul design expressed around the design cases of cultural product of Hangeul motive. In the study, together with type, size, color and etc of font, the comparative analysis is made on the layout formation, type of blank facilitation and etc to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the cultural product by facilitating Hangeul. Result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design for the cultural product of Hangeul motive is the design in expression method of the pattern type in gothic font of sans-serif line by using the consonant and vowel, namely, the phoneme. This is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the phoneme may display the formation of Hangeul and Hangeul is the character of gothic-type in drawing, not the letters written by the brush. Furthermore, with respect to the expression method, this study shows that it prefers the layout of patterns to express the beauty of Hangeul in indirect ways rather than the design delivering the implication or message directly. Conclusion In the cultural product design of Hangeul, the consonant vowel in the phoneme is facilitated to display its expression by making patterns in the gothic font of sans-serif line. It indicates that Hangeul is the phonogram to facilitate the base drawings to create the phoneme of characters that the phoneme is facilitated to make easy patterns as its characteristics. The cultural product design with Hangeul as the motive may be summarized in the key words of phoneme, gothic, and pattern. Furthermore, if the approach is made on the methodical aspect of design, the answer may be found in its patterns.

한국어

연구배경 한글은 기존 문화상품 디자인의 주요 소재였고 한자 기반 길상 문자를 대체하는 한국적 이미지의 핵심 매개체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한글을 모티브로 한 문화상품의 사례와 현황을 분석 연구함으로써 한글 문화상품의 활성화와 올바른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한글을 모티브로 개발된 문화상품의 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표현된 한글 디자인의 특성을 연구한다. 글꼴의 유형, 크기, 색상 등과 함께 레이아웃 구성 형태, 여백의 활용 유형 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한글을 활용한 문화 상품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한글을 모티브로 한 문화상품의 디자인을 분석한 결과는 자음과 모음 즉, 음소 단위를 이용하여 산세리프 계열의 고딕 글꼴로 패턴 형식의 표현 방식으로 디자인됨을 알 수 있다. 이는 음소 단위로도 한글의 조형성을 충분히 나타낼 수 있으며 한글이 붓에 의해 쓰이는 글씨가 아니라 그려지는 고딕형의 문자란 점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나아가 표현 방식에서는 직접 의미나 메시지를 전달하는 디자인보다는 간접적으로 한글의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패턴 형식의 레이아웃을 선호한다는 점도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다. 결론 한글 문화상품 디자인에서는 음소 단위의 자음과 모음을 활용하여 산세리프체인 고딕형 글꼴로 패턴화하여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한글이 표음문자로서 기본 도형을 활용하여 창제된 음소 단위의 문자이므로 음소 단위를 활용하여 패턴화하기에 쉽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글을 모티브로 한 문화상품의 디자인은 음소 단위, 고딕, 패턴이라는 키워드로 정리할 수 있다. 나아가 디자인의 방법적인 측면으로 접근한다면 패턴화에서 그 답을 찾을 수 있다.

목차

논문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 목적
  1.2. 연구 방법
 2. 한글을 활용한 상품화와 사례
  2.1. 한글의 조형적 특징과 상품화
  2.2. 뮤지엄 숍의 한글 문화상품 사례
  2.3. 해외 문화상품과 문자 활용 사례
 3. 국립 뮤지엄 숍의 한글 문화상품 디자인 분석
  3.1. 문화상품별 한글 모티브 화 현황
  3.2. 한글 문화상품 디자인의 조형적 분석
   3.2.1. 디자인 구성 요소에 따른 분석
   3.2.2. 글꼴의 종류에 따른 분석
   3.2.3. 레이아웃의 구성 방식에 따른 분석
   3.2.4. 색채에 따른 분석
  3.3. 국립 뮤지엄 숍의 한글 문화상품 분석 결과
  3.4. 한글 문화상품의 디자인 방향성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조재윤 Jae-yoon Cho. 영남대학교 대학원 시각디자인학과
  • 임경호 Kyung-ho Lim. 영남대학교 디자인미술대학 시각디자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