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on Tailored Jacket Collar Variations Using Human Subjects and Virtual Simulation - A Focus on Collar Stand and Laying Amount -
초록
영어
Background There is a growing number of apparel manufacturers who are making their garment samples through product evaluations using 3D simulation technology. Despite its rising popularity and continuous progress, the appearance of tailored jackets are often assessed by expert panelists on actual human body. This is due to its complex construction process, which involves many pattern pieces and manipulation techniqu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nduct appearance assessments of tailored jacket collars on both human subjects and a 3D virtual model to determine appropriate collar laying amounts for different collar stand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3D simulation in garment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ppearance assessments of tailored jacket collars by selecting three human subjects and creating a 3D virtual model, whose body measurements fall within the average range of women aged between 20 and 29 years old in the 7th Korean Human Body Measurement Investigation. Different collar laying amounts were applied to the both actual and virtual tailored jacket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in the length of collar stands. The data collected from the assessments was processed using SPSS 22.0, and statistically analyzed through technical statistics, t-test, F-test and Duncan-test. Result The results of the appearance assessments demonstrated that when the jacket collar stand was 2.5cm, the most appropriate laying amount for the collar was 3cm, while 3cm collar stand was with 3.5cm laying amount, and 4cm collar stand was with 3.7cm laying amount.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ble to validate the credibility of 3D technology in garment simulation to some extent by successfully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both assessment methods, and thereby proposing appropriate collar laying amounts for different collar stands. This will further enhance the effort to improve the accuracy and usage of the virtual simulation on apparel products.
한국어
연구배경 3D 기술향상으로 가상착의를 생산절차에 적용하는 의류업체가 늘어가는 추세이지만 체계적인 설계법이 요구되고 제작과정이 복잡한 테일러드 재킷은 실제착의평가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에 트렌드의 영향을 많이 받는 재킷 칼라의 스탠드분과 눕힘량에 변화를 주어 실제착의와 가상착의의 외관평가 결과를 비교하고 이를 바탕으로 칼라 스탠드분별 적합한 눕힘량을 제시함으로써 가상착의 결과의 객관성과 신뢰성 향상을 도모하고 상용화 노력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방법 제7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의 20대 여성 평균 치수에 해당하는 피험자 3명을 선정하여 실제착의와 가상착의를 실시하였다. 칼라의 스탠드분에 따라 눕힘량을 다르게 설정하여 실험재킷과 가상재킷을 제작하고 외관평가 하였다. 외관평가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F-test, Duncan-test 등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결과 실제착의와 가상착의 외관평가에서 칼라 스탠드분 2.5cm 재킷은 눕힘량 3cm, 칼라 스탠드분 3cm 재킷은 눕힘량 3.5cm, 칼라 스탠드분 4cm 재킷은 눕힘량 3.7cm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론 테일러드 재킷의 칼라 스탠드분과 눕힘량의 변화를 실제착의와 가상착의로 비교함으로써 가상착의평가의 신뢰도 향상 노력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및 절차
2.1. 피험자 선정
2.2. 착의실험
2.3. 외관평가
2.4. 자료분석
3. 연구결과
3.1. 칼라 스탠드분 2.5cm 재킷의 외관평가
3.1.1. 실제착의 외관평가 결과
3.1.2. 가상착의 외관평가 결과
3.2. 칼라 스탠드분 3cm 재킷의 외관평가
3.2.1 실체착의 외관평가 결과
3.2.2. 가상착의 외관평가 결과
3.3. 칼라 스탠드분 4cm 재킷의 외관평가
3.3.1 실제착의 외관평가 결과
3.3.2. 가상착의 외관평가 결과
3.4. 실제착의와 가상착의 외관평가 결과 비교
4.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