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율곡의 사상과 인성교육에 관한 반성적 고찰 - 고등학교 『윤리와 사상』 교과서와 학계의 선행연구 분석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Reflective Study on Yulgok's Ideas and Character Education - Focusing on the Analysis into the Preceding Study on the High School Textbook of "Ethics and Ideas" in the Academic World -

정연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thesis, the direction to write 『Ethics and Ideas, a textbook on Yulgok's ideas,was proposed, and the direction to study on Yulgok's thoughts on education in the academic world was suggested so that the academic foundation on which the field for character education could be established in a new way grounded on Yulgok's thoughts. The current textbook of "Ethics and Ideas" has the problem of failing to explain systematically how Yulgok developed his ideas of human nature(心性論) and self-discipline (修養論) based on his Li-chi theory(理氣論), and the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of high school, 2015', which is going to be implemented from 2018, has the problem of providing only the educational policy for Yulgok's theory on human nature and self-discipline. If the following textbook of "Ethics and Ideas" is supplemented so that Yulgok's theory on Li-chi, human nature and self-discipline can be understood in one inner saint(內聖) system of study, the character education is expected to have actual effects of helping realize and develop human nature through Yulgok's ideas. In addition, the textbook of "Ethics and Ideas" has had the problem of not dealing with the matter of Yulgok's thoughts on the society. The future textbook of "Ethics and Ideas" needs to complement Yulgok's ideas about the society, such as national defense, diplomacy, and economy. Moreover, it has been also a problem that it cannot be grasped at all how Yulgok's thoughts were passed down to the following generations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ideas. If the future textbook of Ethics and Ideas introduces how the scholars of Yulgok school developed Yulgok's ideas, it will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Yulgok school's ideas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ideas. On the other hand, the preceding research of educational academic circles on Yulgok's thoughts on education hasn't had enough understanding of Yulgok's theory of Li-chi, and the limitation of lacking the depth in the study on educational meanings through the aspects of the development into the ideas on Li-chi, human nature and self-discipline in the system of inner saint study. Yet, the efforts to reflect Yulgok's ideas to the reality of education and realize true character education, which has been made by the educational academic circles, can be highly appreciated. In addition, other kinds of preceding study to converge Yulgok's ideas in diverse academic areas and develop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can be assessed as an eye-opening research outcome that breaks new ground to educate Yulgok's ideas properly in the modern society. Above all, for active research on Yulgok's ideas on education, the attention of Korean philosophical world majoring in Yulgok's thoughts is urgently demanded. In the future, the Korean philosophical world needs to study Yulgok's ideas in depth with critical mind on moral education curriculum or character education. In order to establish the system of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Korean philosophy including Yulgok's ideas, and produce actual results at the educational field, not only the efforts to revise textbooks and deepen academic study but also changes in the policy for the curriculum of Korean ideas must be involved. Accordingly, for the establishment of identity as Korean and stronger character competency, the portion of Korean philosophy in the moral education textbook, one of elective subjects, needs to increase in a short term, and in a middle and long term, the subject of ‘Korean philosophy’ has to be created newly and appointed as a common subject with ‘Korean history.’

한국어

본 논문에서는 율곡의 사상에 관한 『윤리와 사상』 교과서의 집필 방향을 제언하고 율곡의 교육사상에 관한 학계의 연구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율곡의 사상을 기반으로 인성교육의 장을 새롭게 마련할 수 있는 학문적 토대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현행 『윤리와 사상』 교과서에서는 율곡이 이기론(理氣論)을 토대로 어떻게 심성론(心 性論)과 수양론(修養論)을 전개하는지 체계적으로 설명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2018년부터 시행되는 ‘2015 개정 고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에서는 율곡의 심성론과 수양론에 관한 교육방침만 제시하고 있는 문제가 있었다. 향후 『윤리와 사상』 교과서에서율곡의 이기론과 심성론과 수양론을 하나의 내성(內聖) 공부의 체계 속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보완한다면, 율곡의 사상을 통해 인간의 본성을 자각하고 함양하는 인성교육의 실효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밖에도 『윤리와 사상』 교과서에서는 율곡의 사회사상에 관한 문제를 자세히 다루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향후 『윤리와 사상』 교과서에서는 국방, 외교, 경제 등에 관한 율곡의 사회사상을 보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사상사적 맥락에서 율곡의 사상이 후대에 어떻게 전승되었는지 전혀 파악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향후 『윤리와 사상』교과서에서 율곡학파의 학자들이 율곡의 사상을 어떻게발전시켰는지 소개한다면, 사상사적 맥락에서 율곡학파의 사상적 특수성을 이해하는 데도움이 될 것이다. 한편, 율곡의 교육사상에 관한 교육학계의 선행연구에서는 율곡의 이기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측면이 있었고, 내성 공부의 체계 속에서 이기론과 심성론과 수양론으로 전개되는 양상을 통해 교육적 의의를 심도 있게 연구하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율곡의사상을 교육현실에 반영하여 참다운 인성교육을 구현하고자 하는 교육학계의 노력은 높이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밖에도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율곡의 사상을 융합하여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선행연구는 율곡의 사상을 현대사회에 맞게 교육할 수 있는새로운 지평을 열어주는 괄목할 만한 연구 성과라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율곡의 교육사상에 관한 연구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율곡의 사상을 전공하는 한국철학계의 관심이 절실하다. 향후 한국철학계에서도 도덕과 교육과정이나 인성교육에 관한 문제의식을 가지고서 율곡의 사상을 심층적으로 연구해 나갈 필요가 있을 것이다. 율곡의 사상을 비롯한 한국사상을 토대로 인성교육의 체계를 구축하고 교육현장에서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교과서를 개정하고 학문적 연구를 심화시키는 노력뿐만 아니라, 한국사상에 관한 교육과정의 정책적 변화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정체성을 확립하고 인성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단기적으로는 선택과목에 해당하는 도덕과 교과서에서 한국사상이 차지하는 비중을 늘여나가면서, 중장기적으로는 ‘한국철학’ 교과를 신설하여 ‘한국사’와 더불어 공통과목으로 지정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한글요약문>
 1. 서론
 2. 율곡의 사상에 관한 『윤리와 사상』교과서의 문제와개선방안
 3. 율곡의 교육사상에 관한 선행연구의 문제와 전망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연수 Jung, Yeon-Soo. 청운대학교 남당학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