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신라의 교통로 東海通에 대한 고고학적 검토

원문정보

Archaeological Examination of the Traffic Route of Silla Donghae Road

신라의 교통로 동해통에 대한 고고학적 검토

박정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reconstruction of the donghae route of the five route system of the Unified Silla Period. Donghae route has sporadic material data, and has not been systemically researched. Historical records include Busan and Ulsan in the donghae route, and indicate Eunyang and Yangsan as minor routes branching off from the donghae route. All excavation data in Gyeongnam Province suspected of the donghae route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64 roads from 36 site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the Unified Silla Period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data were reclassified to infer the major and minor routes of the donghae route. Results show that the donghae route starts in Silla Gyeogju, and continues along the Route 7, connecting Gyeogju Gueo-ri↔Ulsan↔Jangan town↔Gijang town ↔Dongrae Bokcheon-dong↔Kimhae↔Masan and Changwon↔Haman↔JinJoo. The donghae route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opened in 5th century and later 6th century, earlier than the Gyeongju kingdom in later 6th century. Initially it was opened to Ulsan. Afterwards, the main road was extended to Busan in the latter half of the 6th century. The donghae route in the Unified Silla Period is further developed than in the Three Kingdoms. Its route was extended from Busan to Gimhae↔Masan and Changwon↔Haman↔Jinju. In Gimhae and Jinju, previously used roads were incorporated as branches of the donghae route. In the latter half of the 7th century, Bangu-dong site as foreign trade port and Bangu-dong road were constructed in Ulsan. Four more roads of 4~5m width are added to the existing road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Unified Silla Period, it seems to have connected to Gulhwa-ri, by way of Bangu-dong.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way to Busan was the same as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Afterwards, Yeorae-ri road was connected to Changwon-Kimhae, Haman Goesan-ri road was connected to Masan-Changwon-Haman, and Jinju Jungcheon-ri road was connected to Haman-Jinju.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통일신라시대 ‘五通’이라 불리는 교통로 중 하나인 東海通의 고고학적 복원에 있다. 동해통에 대한 물질자료적 연구는 산발적이며 체계화되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문헌사적 검토는 부산·울산을 동해통의 범주에 포함시키고, 언양·양산을 지선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에 동해통이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경주 이남 지역의 발굴조사 자료들을 전수조사하였다. 그 결과 35개 유적에서 삼국·통일신라시대 도로 64개소를 추출하였다. 이를 다시 분류하여 동해통의 간선·지선도로로 추정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동해통은 신라 왕경인 경주에서 출발, 7번 국도를 따라 경주 구어리 ↔ 울산 ↔ 부산 장안읍 ↔ 부산 기장군 ↔ 동래 복천동 ↔ 김해 ↔ 창원·마산 ↔ 함안 ↔ 진주를 잇는 길이라 생각된다. 삼국시대 동해통의 초축시기는 대략 5세기~6세기 후반으로 경주 왕경의 조성시기인 6세기 중·후반보다는 다소 이른 편이며, 처음에는 울산까지 개통되었다. 이후 부산 고촌 도로(6세기 후)가 연결된 것으로 보아 부산까지 연장되었다. 동해통의 노선은 경주 동남쪽에서 출발해 경주 구어리, 관문성을 지나 7번 국도 동편 구릉지를 거쳐 울산 굴화리로 이어진다. 이후 부산을 향해 남쪽으로 연장되는데 울산 청량면, 온양읍을 지나 부산 기장 장안읍 ↔ 일광면 ↔ 기장군 고촌리 ↔ 반송2동 ↔ 반여1동 ↔ 복천동고분군으로 연결된다. 통일신라시대에는 삼국시대보다 동해통이 훨씬 발달한다. 노선은 부산에서 김해 ↔ 창원·마산 ↔ 함안 ↔ 진주까지 연장되고 김해·진주 등지에서는 기존에 쓰이던 도로들이 동해통의 지선도로로 편입된다. 먼저 울산지역에서는 7세기 말경 신라의 대외무역항인 반구동유적이 조성되며 반구동 도로가 만들어진다. 기존의 삼국시대 도로에 폭 4~5m의 4개 도로가 추가되며 폭도 좀 더 넓어지는 경향을 나타낸다. 통일신라시대에는 아마 반구동유적을 경유해서 굴화리지역으로 연결된 것 같다. 부산으로 가는 길은 삼국시대 노선과 동일하며 이후 김해 ↔ 창원이 김해 여래리 도로로, 창원·마산↔함안이 함안 괴산리 도로로, 함안 ↔ 진주가 진주 중천리 도로로 연결된다.

목차

국문요약
 I. 머리말
 II. 東海通의 의미
 III. 도로의 현황 · 구조 · 분류
  1. 현황
  2. 구조
  3. 유형에 따른 분류
 IV. 도로의 검토
  1. 삼국시대
  2. 통일신라시대
 V. 東海通의 시 · 공간적 위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정환 Park, Jung-Hwan. 올산발전연구원 문화재센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