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공간스토리텔링을 통한 사찰감상교육 교수법 계발 :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원문정보

Temple Appreciation Teaching Method Development through Space Storytelling : For the 3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박은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thod of teaching appreciation education through spatial storytelling. For this purpose, I first establish a figur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emple and the religious person, the temple visit, the spiritual pilgrimage, and the completion of the temple architecture liberation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the body-house-universe in Mircea Eliade's religious morphology. Based on the philosophical thought of Buddhism, I noticed the similarity between the circulation of the visitor and the Buddhist sutra. In this process, the viewer is able to identify himself as a seeker of truth. And his experience of visiting temples is a process of pilgrimage to experiencing repeated liberation. Through this, I made the story of Dong-Dong's adventure. As a result, I saw the experience of visiting the temples as a process of pilgrimage to experience the repetition of small liberation. And I made the story of ‘Dong-Dong's adventure’. The research process consisted of literature research, story creation, classroom conversation(1 period), conversation at the temple(4 periods), after-interview(1 period) and data analysi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advantage of storytelling is to connect the space with the story, so that the audience can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temple space in an integrated way. In this process, the temple expands into a space of meaning composition that communicates with the audience, not the object of one-sided appreci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공간스토리텔링을 통한 사찰감상교육 교수법을 계발하고자, 사찰을 배경으로 한 창작 동화를 만들고 이를 초등학교 3학년 미술 수업에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미르체아 엘리아데(Mircea Eliade)의 종교형태론에서 말하는 신체-집-우주의 동일시 개념을 들어, 사찰 대(對) 종교적 인간, 사찰 방문 대 영적 순례, 사찰 건축 대 해탈의 완성이라는 비유적(比喩的‘) 관계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불교의 철학 사상을 바탕으로 사찰을 방문한 감상자의 동선(動線)과 고집멸도 사성제(苦集滅道 四聖諦)간의 유사성에 주목하였다. 이 과정에서 감상자는 진리를 추구하는 구도자로서의 정체성을 가지며, 그가 사찰을 방문하는 경험은 작은 해탈을 반복 체험하는 순례의 과정이라는 점에서 ‘동동이의 모험’이라는 이야기를 구성하였다. 연구 과정은 문헌연구, 스토리창작, 교실 스토리텔링(1차시), 사찰에서의 대화(4차시), 사후 면담(1차시), 자료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스토리텔링이 가진 장점은 공간과 스토리를 연결함으로써 감상자가 사찰 공간의 의미를 통합적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사찰은 일방적인 감상의 대상이 아니라 감상자와 상호 소통하는 의미구성의 공간으로 확장되었다.

목차

요약
 들어가며
 이론적 배경
  몸된 집, 불국(佛國)
  떠나기 위한 집, 경계
  순례를 위한 집, 길
  무너짐으로서 완성되는 집, 몸
  사찰과 불교 철학의 공간화
 연구 방법
  사찰 공간스토리의 창작
 동동이의 모험
  발단 : 행복을 찾아서(苦)
  전개 : 시험을 통과하다(集)
  결말 : 집에 돌아오다(道)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은실 Eun-Sil Park. 영월신천초등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