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연구 – 유산, 잠재력, 그리고 미술교육을 위한 도전

원문정보

Brigitte Hipfl, 최옥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이 글에서 나는 영국의 문화 연구의 전통에서 발전한 문화 연구를 특징짓는 것에 대해, 그리고 그 문 화연구가 미술교육에 영감을 주는 접근에 대해 요약하였다. 사람들의 동인 뿐 아니라 구조적 제약의 힘 양자를 포함하여 “문화의 일상성”에서 시작하여 현실의 관계적 성격, 국면 분석, 급진적 맥락성과 명확한 표현에 대해 언급하였다. 이 글은 문화 연구, 미술 모두에 주요 관심 사항으로 고려할 수 있는 것, 즉 역사적 특별한 국면에 반응하고 그것을 개입시키는 것에 대해 숙고하길 권고하면서 마친다.

목차

요약
 서언
 문화 연구 – “전반적인 삶의 방식으로서의 문화”와 “나타내는 실제로서의 문화” 사이의 동요
 국면 분석으로서의 문화 연구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가?” 문화 연구의 정치적-이론적 수행지시
  균형이 맞지 않는 의자들
  디지털 청소
  함께 읽기
 문화 연구를 행하는 방법으로서의 미술(교육)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Brigitte Hipfl 오스트리아 클라겐푸르트 대학 교수
  • 최옥희 백석문화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