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새로운 섬김의 리더십 모델의 제안

원문정보

The Suggestions on the New Servant Leadership Model

김광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emo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leader and the followers is one of the significant reasons for leadership to persist throughout the ages. Such communications are possible when the followers are impressed by the challenges of leadership behaviors. In this sense, the servant leadership model has been playing the major roles to make the impressive influences on the followers. This article divides the leadership eras in history into three parts: leadership 1.0, leadership 2.0, and leadership 3.0. The new leadership model, as leadership 3.0 in this age, has emerged to response the innovative environments of high-technology-oriented and hyper-connected society with the new perspectives of the complexity science. In addition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leadership ears, the model of servant leadership is introduced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s of leadership paradigms. Particularly, the new model of servant leadership for the situation 3.0 is suggested through contextualizing the previous model of servant leadership by Greenleaf for the cross-cultural postmodern environments of the otherness. This modeling aims at the trans effects, which causes the followers’ voluntary commitments to the leadership structure. The trans effects are usually produced by the trans-leadership model that autonomously transfigures their own leadership paradigms to challenge the followers’ affectiveness to be led by the servant leaders, and to transform the organizations and the societies eventually. The trans effects by the servant leadership model is a kind of phenomena of reframing of leadership, which provokes the contextualization of leadership by the vertical shifts in terms of the old model of servant leadership, and by the horizontal shifts in terms of the new one of servant leadership. The suggestions of the new model of servant leadership in this article is based upon the Pauline scriptures in 1Cor 9.

한국어

리더십이 각 시대마다 소멸되지 않고 존속하는 이유들 중 하나는 리더와 팔로워들 사이의 감성적 소통 때문이다. 이것은 팔로워들이 리더로부터 감동을 받을 때 가능한 현상으로서 여기에는 섬김의 리더십 모델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본고는 리더십의 시대적 변화를 리더십 1.0, 리더십 2.0, 그리고 리더십 3.0으로 구분하여 리더십 모델의 변천을 설명하였다. 이 시대의 리더십 3.0이라는 리더십 모델은 초과학시대과 초연결시대의 환경, 복잡계 과학의 시대정신의 환경에서 새로운 리더십의 패러다임이 요구에서 등장한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리더십의 변천과 아울러 기독교적 리더십의 패러다임의 변화를 섬김의 리더십이라는 유형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였다. 현대에 획기적으로 등장한 섬김의 리더십 모델 그리고 전기 섬김의 리더십과 후기 섬김의 리더십 유형을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그리고 후기 섬김의 리더십을 신 섬김의 리더십이라고 명명하여 상황 1.0 그리고 상황 2.0과 차별화되는 새로운 상황 3.0의 시대를 위한 적절한 새로운 섬김의 리더십 모델을 제안하였다. 상황 3.0은 타자에 대한 노출과 조우, 즉 타자성 (otherness)의 문제에 대한 상황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에서의 섬김의 리더십 모델의 기능과 특성을 트랜스 효과라고 지칭하였다. 변혁은 본래적으로 리더십 자체의 패러다임을 바꾸어나가는 변형적 트랜스 리더십에 근거한다. 섬김의 리더십의 구조의 감성적 소통은 결국 이동, 즉 트랜스라고 하는 리프레이밍 현상으로서 구 섬김의 리더십 구조의 수직적 이동, 즉 높음에서 낮음으로의 하강을 넘어서, 신 섬김의 리더십 모델은 수평적인 문화간 이동, 즉 리더의 팔로워 문화로의 상황화로 표현되었다. 새로운 섬김의 리더십 혹은 후기 섬김의 트랜스 리더십은 바울의 새로운 성경 구절에 근거하여 제시되었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리더십의 감성 구조
 III. 리더십 3.0
 IV. 기독교 리더십 모델로서의 섬김의 리더십
  1. 전기 섬김의 리더십 (pre-servant leadership)
  2. 섬김의 리더십(servant leadership)
  3. 후기 섬김의 리더십 (post-servant leadership)
 V. 리더십의‘트랜스 효과’(trans effect)
  1. 타자성을 위한 권리의 포기
  2. 트랜스문화
  3. 섬김의 정체성: 소명, 겸손, 공감, 아가페적 사랑
  4. 문화적 다원성을 위한 통합적 리더십
  5. 상황화(contextualization)에 의한 섬김
 VI.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광건 Kim, Kwang-Kun. 서울장신대학교 교수 / 실천신학 / 기독교리더십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