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창작 탈놀이극의 연기방법론 연구 - ‘왼손이’와 ‘날아라 장수매’의 공연사례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f Methodologies in Creative Mask Play - Focusd on ‘Lefty’ & ‘Fly, Hawk!’ -

서상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cting is generally defined as “an artistic activity in which a story is told by means of its enactment by an actor or actress who adopts a character to inspire audience”. However, various acting methodologies have been studied and developed according to the times, according to the theater theory, or according to the idea of the director even though the basic definition of ‘what acting is’ is the same. Examples are such as; Stanislavsky's realism focused on language and inner sides of characters, Mayerhold's Biomechanics emphasizing the flexibility of the body and Brecht’s theory which emphasizes the alienation effect through the distance between the actor and the characters, Creative Mask play and its acting method are rooted in Korean traditional fork arts such as mask dance, poongmulgut(percussion music), moosokgut(shamanism), korean dance, folk song, pansori(solo epic chant) and madangkuk(open air play) which was flourished in 70s and 80s. In contrast to the realistic performance that reproduces reality, the act of creative play has a unique characteristic of acting, which emphasizes the physical expression of the body and its methodological importance is enormous. In this paper, I will discuss the acting methodology of Creative Mask play originated from 1970s in Korea. In addition, I will examine the characteristics, limitations and possibility of future developments of this Creative Mask play.

한국어

“연기란 배우가 등장인물이 되어 관객에게 이야기를 들려주고 보여주어 관객에게 감흥을 일으키는 예술 적 행위이다”라고 일반적인 정의를 내릴 수 있겠다. 그러나 언어와 인물 내면이 연기의 중심인 스타니슬 랍스키의 사실주의 연기, 신체의 유연성을 강조하는 메이어홀드의 생체역학(biomechinics)3) 연기, 배우와 등장인물간의 거리두기를 통해 소외효과(alienation effect)를 강조하는 브레히트4) 연기론 등등, ‘연기란 무 엇인가’에 대한 기본 정의는 맥을 같이하여도 연기 방법론은 시대에 따라, 연극사조에 따라 혹은 연출가 의 사상에 따라 그 연기방법론을 달리하여 연구되고 발전되어왔다. 창작 탈놀이극과 탈놀이 연기방법은 우리나라 민속예술인, 탈춤, 풍물굿, 무속굿, 전통무용, 민요, 판소 리 등과 지난 70-80년대에 성행한 마당극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창작 탈놀이 연기는 현실을 재현하는 사실적 연기와는 달리 몸의 신체적 표현을 중시하는, 탈놀이 고유의 특징적 연기 방식이 자리 잡고 있으 며 그 제 요소들의 방법론적 중요성은 매우 크다 할 것이다. 본 논고에서는 우리나라에서 70년대부터 자생적으로 나타난 창작 탈놀이극의 연기 방법과 창작 탈놀 이극 두 편의 공연에 적용된 사례를 통해 탈을 쓰고 놀 때, 탈을 가지고 놀 때에 나타나는 탈놀이 연기의 특징과 한계 그리고 앞으로의 발전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본론
  1. ‘놀이정신’과 ‘신명’
  2. 몸짓 연기
  3. 몸의 꺾음새
  4. 탈과 탈 짓
  5. 동작과 대사
  6. 말의 뿌림새와 사위의 뿌림새
  7. 얼러기(배우와 배우 사이)
  9. 얼러대기(배우와 관객 사이)와 관객참여(극중 사건해결자로서)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서상규 Seo, Sang Gyu. 서원대학교 공연영상학과 연극전공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