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he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y Korean grammar for Chinese analyzed to serve as four kinds of domestic Korean grammar, six kinds of Chinese translation of Korean grammar books of the original Korea, four kinds of Chinese Korean grammar books of the original China.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y for Chinese to Korean grammar will prevent confusion for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convenience and a system of Korean grammar’s descriptive. For this, Easy to understand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rather than using the Korea Sino-Korean grammar term is a need for the standardization of selecting the Korean grammatical terms.
In Korean grammar category tried an analysis of the Chinese translated term about ‘sentence constituent’ relation terms 16 and ‘sentence structure’ relation terms 12. In future, based on
한국어
본고는 중국어권 한국어 문법 용어의 표준화를 위해서 국내 대표적인 한국어 문법서 4권과국내 저작 중국 번역판이 있는 한국어 문법서 3종 6권, 그리고 중국에서 출판되고 중국인 학자에 의해서 제작한 한국어 문법서 4권을 비교하여 한국어 문법 용어의 중국어 대역어를 분석하였다. 중국어권 한국어 문법 용어의 표준화는 한국어 학습자의 편의와 한국어 문법 체계 서술에 있어서 혼란을 방지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한국 한자어 문법 용어를 대응시켜 사용하는것보다는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가 이해하기 쉬운 문법 용어를 선정하여 표준화할 필요가있다.
한국어 문범 범주 중에서 ‘문장 성분’ 관련 용어 16개와 ‘문장 구조’ 관련 용어 12개의 중국어 대역어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향후에 한국어교육을 위한 <표준한국어문법>을 바탕으로언어권별 한국어문법 개발을 위해서는 대조언어학적 관점에서 기술한 한국어 문법 체계를 확정해야 하고, 이 기초 작업을 위해서 한국어 문법 용어의 표준화가 가장 시급한 과제이다.
목차
1. 서론
2. 중국어권 한국어 문법 용어의 표준화
3. 한국어 문법 용어 분석 대상
4. 한국어 ‘문장 성분’과 ‘문장 구조’ 관련 문법 용어 분석
1) 문장의 구성 단위
2) 문장 성분
3) 문장 구조(1): 단문, 복문
4) 문장 구조(2): 접속문, 내포문
5. 결론
◆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