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Disciplinary action of a police officer and general principle of administrative law
초록
영어
The government employees, as civil servants for the entire nationals, have their natural obligations to observe the nation's laws and regulations and to perform duties sincerely and uprightly. The article 3 of Police Law states that the duty of police is to maintain public peace and order in the society such as protecting the lives of citizens, body, property, preventing, suppressing, and investigating crime cases, collecting information on public security, regulating traffic and so on. Also, the article 2 of Act on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Police Officers endows police officers with a wide range of authority and duty to maintain public peace and order in the society such preventing, suppressing and investigating crime cases, watching, patrolling, and engaging in counterespionage operations, collecting information on public security and documenting and distributing it, controlling traffic, stopping harm, and so on. As shown in the both laws, the authority and power of police are exercised generally on individual citizens. Because of inherent problems of the police disciplinary system in Korea, police officers has deep distrust in disciplinary system and demoralization among them. So it is necessary to present reform measures to remedy these problems. Following this study, we complied with the general principle of administrative law and theoretical argument about the police disciplinary system (proportionality, Rule of equality). We considered specific fairness for the police disciplinary action through the Rule of law.
한국어
공무원은 국민에 대한 봉사자로서 법률을 준수하고, 맡은바 임무를 성실하고 청 렴하게 수행해야할 의무를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찰법 제3조에는 경찰의 임 무가 규정되어 있으며, 이는 국민의 생명․신체․재산에 대한 보호와 같은 공공의 안 녕과 질서를 유지하는 것을 규정하고 있으며, 경찰관직무집행법 제2조에서는 경찰 관 직무의 범위에 관하여 명시하고 있다. 이러한 광범위한 활동 중에 발생되는 경찰공무원의 징계제도는 타 부처의 공무 원보다 제반절차가 불합리하고, 엄격하며 가혹하다는 인식은 이미 경찰관들 사이 에서 일반화되었다. 이는 경찰징계제도에 대한 불신을 초래하며 사기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찰징계제도에 관한 이론적 논의와 함께 행정법의 일반 원칙(비례의 원칙, 평등의 원칙)을 준수하고 법치주의의 실현에 충실한 경찰 징계 처분을 위해서 구체적인 형평성이 고려되도록 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경찰징계제도에 대한 이론적 배경
Ⅲ. 행정법의 일반원칙
Ⅳ. 행정법의 일반원칙과 징계 처분
Ⅴ. 징계처분 시 준수해야 할 행정법의 일반원칙
Ⅵ.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