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근대 일본 창가 교육의 성립과 ‘화양절충(和洋折衷)’의 음악적 시도 -1872~1881년 사이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Modern Japanese Changga(唱歌) Education and Musical Attempt of ‘Wayousetchu(和洋折衷)’ - Focuscing on the Period from 1872 to 1881 -

임혜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modern Japan period, ‘Changga(唱歌)’ made a key role in modern music education system. In this paper, I tried to review an attempt called ‘Japan-western compromise(和洋折衷)’ which is applied on ‘Changga’ making focusing on the period from 1872 to 1881. ‘Changga’ education started from the kindergarten. The first kindergarten in Japan ‘Tokyojyosisihangakkou(東京女子師範学校)’ commissioned kunaishosikiburyokagakuka(宮内省式部療雅楽課) to develope Changga curriculum. At that time, musicians in kagakuka made a ‘Changga’ for the purpose of using it in a very limited educational institution called Tokyo Women’s Education School, which nurtures the kindergarten of the Tokyo Girls’ Education School and the kindergarten teacher. At this time, the main educational subjects were the upper classes including the Imperial Family. In this background, since the work of making the ‘Changga’ was progressed by the Kunaisho(宮内省) Kagakuka(雅楽課), the compromise between Western music and Japanese music was inevitably based on ‘Kagaku(雅楽)’. Although they refer to the Western original, they applied the Kagaku scale theory to create a song, or to bring an old Japanese song, and accompanied by a Japanese instrument called Shakubyoushi(笏拍子). On the other hand, the Isawa shuji(伊澤修二)’s Changga(唱歌) was different from the Kagakuka(雅楽課). Isawa shuji’s group insisted on the compromise of eastern and western music. This would have be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supposed educational subjects. Isawa shuji’s group targeted the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s throughout Japan. Because of that, it would be difficult to choose traditional Kagaku(雅楽) music element for a small number of upper classes. Isawa shuji(伊澤修二) was more interested in the ‘Japanese folk music(俗楽)’ in the respect of education of Changga. He argued that the Japanese folk song at that time was vulgar and obscene and that it should be improved for school education. In the production of the Changga(唱歌), Isawa shuji(伊澤修二) more wanted to compromise the western and japan in Japanese popular music rather than the Kagaku(雅楽) music. Because of this situation, the Changga(唱歌) from the Kagakuka(雅楽課) was excluded from the Isawa shuji’s publishment 『Shougakushoukashu(小学唱歌集)』 in 1880. Since then, the songbooks 『Shougakushoukashu(小学唱歌集)』 have been distributed to elementary schools throughout Japan, so that the songs in this book were given the impression of the typical ‘Changga(唱歌)’ to the Japanese people. Most of the Changga from the Kagakuka which was tried to compromise with Kagaku(雅楽) music were buried in the back of history. Perhaps I suppose, the various musical attempts by the Kagakuka(雅楽課) and the Isawa shunji(伊澤修二)’s group, which were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creating a Changga at that time, have influenced the history of Japanese music. Although the harmony between the Western musical elements and the Japanese musical elements has been attempted for the Changga(唱歌), it seems to have great significance in relation to Japanese music history in that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music could be started.

한국어

본고에서는 근대 일본에서 ‘창가’가 교육 과정에 포함된 1872년 이후부터 『소학창가집』초편이 발간되기 이전인 1881년까지를 중심으로 창가 교육의 성립 과정에 있어서 나타나는 음악적 ‘화양절충’의 시도들을 고찰했다. 일본에서 창가의 제작과 교육은 유치원에서 먼저 시작되었는데 도쿄여자사범학교(東京女子師範学校)측은 부속유치원에서 교육할 창가의 제작을 궁내성시키부료가가쿠과(宮内省式部療雅楽課)에 의뢰하였다. 당시 궁내성 가가쿠과 음악인들이 제작했던 창가는 도쿄여자사범학교부속유치원, 그리고 유치원 교사를 양성하는 도쿄여자사범학교라는 매우 제한된 교육기관에서의 활용을 목적으로 만들어졌던 것이다. 이 때 주요 교육 대상은 황족을 포함한 상류층의 자제들이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궁내성 가가쿠과의 창가 제작 작업이 진행된 탓에 서양음악과 일본음악의 절충은 특히 가가쿠를 중심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다. 한편 이사와 슈지(伊沢修二)를 중심으로 한 음악조사계도 창가 제작에 있어서 화양절충의 입장을 취하지만 일본 음악의 어떤 요소를 취하느냐가 궁내성 가가쿠과의 입장과 달랐다. 이는 전제된 교육 대상의 차이였을 것이다. 이사와 슈지를 필두로 한 음악조사계에서는 일본 전국의 소학교에 취학하는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했으며 이 때 황족 등 소수 상류층을 위한 궁중음악인 가가쿠는 선택하기 어려운 일본음악적인 요소였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궁내성 가가쿠과에서 제작했던 창가들은 이사와 슈지를 중심으로 한 음악조사계가 1880년대 초반 이후 발간한 『소학창가집(小学唱歌集)』에 포함되지 못하게 된다. 이후 『소학창가집(小学唱歌集)』이 일본 각지의 소학교에 보급되면서 일본인들에게 이 책에 수록된 노래들이 ‘창가’라는 인식을 심어주게 되며 가가쿠의 요소를 담아 화양절충을 시도한 궁내성 가가쿠과 음악인의 창가 대부분이 역사의 뒤안길에 묻히게 되었다. 그러나 이 시기에 이루어진 서양음악적 요소와 일본음악적 요소의 혼합이라는 화양절충의 음악적 시도는 비록 창가를 위해 시도된 것이기는 하지만 이를 계기로 일본 전통음악의 근대화 작업이 시작될 수 있었다고 본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창가의 도입과 ‘화양절충’ 논리의 전개
 Ⅲ. 창가에 나타나는 화양절충의 음악적 시도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임혜정 Im, Hye-Jung.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선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