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소셜미디어 기반의 참여형 CSR전략으로서 소셜 기부의 참여 동기 요인이 CSR신뢰성과 참여의향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s of Influence of Motives of Participation to Social Donation on CSR Confidence and Participation Intention in Participative CSR Strategy using by Social Media

서상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mpirically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influence factors on participation intention to social donation in participative CSR Strategy using by social media. It was examined that contents satisfaction of social donation, CSR truth, and social connectedness had positive influence on CSR confidence. Also, results showed that contents satisfaction of social donation, CSR truth, and social connectedness had positive influence on participation intention to mediating CSR confidence. And it was confirmed that contents satisfaction of social donation has direct influence on CSR participation intention. On the contrary, it was examined that direct effect of social connectedness on CSR participation intention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Meanwhile, results showed that moderating effect of friends' recommendation in sns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influence of perceptive factors of social donation on CSR truth. Finally, it is provided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examination and the future conduct of research.

한국어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서 참여형 CSR전략으로서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소셜 기부활동의 참여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검증 결과, 소셜 기부 콘텐츠 만족도와 CSR진정성, 사회적 연결감은 CSR신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소셜 기부 평가 요인으로 설정한 콘텐츠 만족도와 CSR진정성, 사회적 연결감은 모두 CSR신뢰성을 매개로 소셜 기부 참여 의향에 정(+)의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 중 콘텐츠 만족도의 경우, CSR 참여의향에 직접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CSR진정성과 사회적 연결감은 CSR참여의향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소셜 기부에 대한 인식 요인들과 CSR신뢰성 간 영향 관계에 있어서 SNS친구 추천(권유)의 조절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함께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연구 가설의 설정
  1) 소셜 기부의 참여 동기 요인 설정 범위 및 연구 문제
  2) CSR 참여의향의 영향 요인으로서 콘텐츠 만족도와 CSR신뢰성 간 영향 관계
  3) CSR 참여의향의 영향 요인으로서 CSR진정성과 CSR신뢰성 간 영향 관계
  4) CSR 참여의향의 영향 요인으로서 사회적 연결감과 CSR신뢰성 간 영향 관계
  5) 소셜 기부 참여에서 SNS 추천에 대한 태도의 조절 효과
 3. 연구 방법
  1) 자료 수집 방법
  2)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 문항
  3)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4. 분석 결과
  1) 연구 모형의 적합도 검증
  2) 연구 가설의 검증 및 분석
 5. 결론
  1) 주요 연구 결과에 대한 함의 및 시사점
  2)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서상희 Seo, Sang Hee. 대구가톨릭대학교 언론광고학부 강의전담교수, 광고홍보학 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