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선거 과정에서의 방송 미디어 역할 수행 방식 연구 : 방송 미디어의 정치-선거 보도 운영 특징과 심의 결과 및 심의 사례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Role Performance of Broadcasting Media in Broadcast for Election Process

권장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rroborate some ways for discussing role performance of broadcasting media in broadcast for election campaigning. This study raises two major research topics. First, this study attempts to search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broadcasting ratings and voter turnout in broadcast for election campaigning. Second, this study also attempts to investigate execution result of consideration though analysing frequency of execution result and researching some case of deliberation violation. In brief,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broadcasting ratings and voter turnout show a similar trend to each timing. And the second, TV channels of comprehensive programing and report channel of program provider infringe a deliberation regulation the most in broadcast for election campaigning, especially in a presidential election. Third, the major reason of deliberation violation is sensational presentation of the main player.

한국어

본 연구는 선거 과정에서의 방송 미디어 역할 수행과 관련하여, 대통령 선거, 국회의원 선거, 전국동시지방 선거를 공시적 차원에서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선거 유형에 따라 미디어가 어떤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는지를 함께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에 따른 연구 문제는 첫째, 정치-선거 과정에서 방송 미디어의 활용 특성과 여론조사 보도에 입각한 보도 행위 현황, 둘째, 정치-선거 보도에서의 심의 결과에 입각한 방송 행위 결과 상의 특징과 문제점 등을 설정하였다. 이들 연구 문제를 기반으로 선거 유형에 따라 방송 미디어가 어떤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는지, 그에 따른 문제점은 무엇인지를 탐사적 차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 시점은 미디어 다변화와 함께 방송에서의 경쟁적 환경이 부각되기 시작한 종합편성채널의 개국 직전부터 중앙선거여론조사 심의위원회가 설립된 2014년 이후로 시기를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방송 미디어를 통한 정치-선거 정보 획득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연령대별로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또한, 지방선거에 비해 국회의원 선거에서의 여론조사 의뢰 빈도가 높았으며, 개인 이미지 소구를 중심으로 TV 여론 조사 수행 및 결과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엿볼 수 있다. 아울러, 대통령 선거와 같이 인지도와 관심이 높은 선거일수록, 그리고 시간이 흐를수록 위반 건수가 더욱 많이 나타나고 있는 점이 특징적이다. 심의 결과 사례 분석 역시 심의 제도를 통한 강제 규범 준수보다 시청률 제고를 통한 인지도 확보에 더욱 주력하는 행위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볼 때, 미디어를 통한 선거의 경우 시청율에 입각한 방송사의 상업적 가치가 선거 정보 배분의 핵심적인 요인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특히, 지방 선거에서의 정치 및 선거 후보자에 걸친 정보 획득 및 선택이 중앙 정치에 의해 좌우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음을 엿볼 수 있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정치 및 선거 보도를 둘러싼 미디어 환경 변화와 보도 관행에 대한 기존 연구
  1) 정치-선거 과정에서의 지배적 미디어 환경 변화에 대한 기존 연구
  2) 정치-선거 보도 관행과 미디어 선거 준칙에 대한 기존 논의
  3) 방송 미디어에 입각한 정치-선거 보도 행위상의 특징
 3. 연구 문제와 연구 방법
  1) 연구 분석 대상 및 분석 시기의 설정
  2) 연구 문제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1) 정치 및 선거 보도에서의 방송 미디어의 활용 및 보도 행위상의 특징
  2) 선거 방송에 대한 공정성 개념에 입각한 심의 의결 사례 분석
 5. 연구결과 및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1) 연구 결과
  2)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 및 본 연구의 한계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권장원 Kwon, Jang Won. 대구가톨릭대학교 언론광고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