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자기설계전공제도의 한계와 가능성 탐색

원문정보

A study of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self-designed majoring system

이두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self-designed majoring system through observations and analyses of students who were on self-designed majoring in colleg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participatory observation was conducted on students enrolled in the self-designed majoring. The collected data were handled according to the analysis methods of qualitative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learer the career objectives students have, the higher the specifics and originality of the self-designed major, and the greater the self-initiatives of students. Secondly, the clarity of career objectives is closely related to the way in which the curriculum is structured. Students who have clear career objectives tend to form a curriculum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rather than the subject of a curriculum. Third, in the course of a traditional curriculum, students who take courses in self-designed major are experiencing discrimination and disadvantages in all processes, such as the application and completion of the classes Fourth, through the process of completing a self-designed major, students develop their own academic identity and recognize themselves as being distinguished from others. It was clear that the self-designed major was unfamiliar to university members in South Korea. Students were experiencing various difficulties and trials in the process of completing their own major. Nevertheles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students' lives show the possibility of the self-designed majoring as a new undergraduate organization that can foster human resources demanded by future society.

한국어

이 연구는 자기설계전공제도의 가능성과 한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하여 자기설계전공을 주전공으로 운영하는 전남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참여관찰과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질적 연구의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에 따르면 학생들이 갖고 있는 진로목표가 명료할수록 전공설계과정에서 자기주도성이 강하고 설계한 전공의 구체성과 독창성이 높았다. 교육과정 구성과정에서도 진로목표가 분명할수록 구체적이며 역량에 기반한 접근을 취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교과를 이수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기존의 학과중심적 학사운영시스템속에서 차별과 배제를 경험하고 있으나 저항 보다는 우회의 전략을 선택하고 있었다. 끝으로 전공을 이수해가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자신의 전공정체성을 강화하고 자신을 다른 학생들과 구별되는 존재로 인식해가고 있었다. 결과를 종합해 보면, 자기설계전공은 학과간 폐쇄적 대학교육을 탈피하여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를 길러낼 수 있는 새로운 학사조직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자기설계전공이 정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연구와 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자기설계전공제도의 운영과정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성과에 대한 분석이 진행될 필요가 있다.

목차

<요약>
 Ⅰ. 문제의 제기
 Ⅱ. 자기설계전공제도의 이해
  1. 자기설계전공제도의 등장과 의미
  2. 자기설계전공제도의 의의
  3. 자기설계전공의 구성 요소
  4. 자기설계전공의 동향
 Ⅲ. 연구의 방법
  1. 연구대상의 이해
  2. 자기설계전공의 이수체계에 대한 이해
  3. 자료의 수집 및 분석
 Ⅳ. 자기설계전공의 설계와 이수 과정
  1. 전공 설계하기:진로목표에 따라 달라지는 전공설계전략
  2. 자기설계전공의 이수 : 차별과 배제, 그리고 홀로서기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두휴 Lee, Doohyoo. 전남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