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격려스트로크를 활용한 교사의 회복탄력성 집단상담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원문정보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n the Effectiveness of Teachers’ Resilience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Encouraging-strokes

서은주, 김장회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ith due consideration for the increased number of teachers suffering from psychological burnout or mental health problems due to job stre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that can improve teachers’resilience as a way to provide assistance for their mental health. Steps to developing a group program model were followed to develop a resilienc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teachers. Also,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developed program were confirmed through continuous consultation with a group of experts. The developed program was implemented for 8 sessions with a research group consisting of 13 participants who are current teachers in Jeollanando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Examining the effect of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teachers’resilience, encouragement level, significant effect was found in the sub-factors of resilience including emotion regulation ability, empathic ability, self–efficacy and positive challenge. In conclusion, significant improvement was observed in the teachers’ resilience and encouragement level. Based on the study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group resilience program using encouraging strokes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mental health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by changing their resilience, encouragement level.

한국어

본 연구는 다양한 직무 스트레스와 그로 인한 심리적 소진이나 정신건강상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현장 교사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점을 주목하고, 교사의 정신건강에 도움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사의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집단상담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교사를 위한 회복탄력성 집단상담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집단상담프로그램 개발모형의 절차를 준수하고 전문가집단의 지속적인 자문을 거쳐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개발한 프로그램을 전라남도 지역의 현직 교사들로 구성된 실험집단 13명을 대상으로 8회기에 걸쳐 실시한 결과, 교사의 회복탄력성, 격려 수준에서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감정조절능력, 공감능력, 자기효능감, 적극적 도전 등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과적으로 교사의 회복탄력성 및 교사 격려 수준의 의미 있는 향상이 관측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회복탄력성 향상에 효과적인 것이 확인된 만큼, 교사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노력, 본 프로그램의 직접적 활용, 체계적이고도 구체적·행정적 지원 등을 논의하였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프로그램 개발
  1.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2. 프로그램 구성
 III.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자료처리
 IV. 연구결과
  1. 기술통계
  2. 효과 분석
 V.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서은주 Seo, Eun Ju. 경상대학교 교육학과
  • 김장회 Kim, Jang Hoi. 경상대학교 교육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