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사의 인문적 역량에 관한 요구도 조사

원문정보

A Study on Teachers’ Needs of Humanistic Competences

박나실, 우한솔, 박유진, 장도현, 조영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provide foundational resources complementary to the task-based competence education by exploring teachers’ humanistic competences and then identifying teachers’ needs for humanistic competences. Since 2000s, the development of competences such as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has been centered at teacher education fields in Korea. However, the teachers’ emotional exhaustion, dehumanization, and identity confusion have been relatively neglected in the literatures and the teacher education fields. In rapidly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s, teachers are demanded to develop philosophical foundation of education and knowledge of sociocultural changes as well as academic expertise. With those needs and importances, this study defined the humanistic competences through literature reviews, behavior event interview, and expert reviews. Conducting surveys with 215 teachers, we analysed the needs of teachers and determined priorities of the humanistic competence development of the teachers. The analysis showed that teachers felt the needs of the humanistic competence development. Especially, they needed competences to understand and respect themselves and to establish educational philosophy to reflect on their own instructional practices. Based on these findings, we suggested implications of the humanistic competences to the teacher education and educational policies.

한국어

본 연구는 교사의 인문적 역량을 탐색하여 직무중심의 역량교육을 보완할 수 있는 기초 연구 자료를 제공하고, 인문적 역량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를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000년대 이후, 교사들에게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를 중심으로 직무역량 중심의 연수 교육과정이 운영되어 왔으나, 교사들의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정체성 혼란 등은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져 왔다. 또한 교사들은 급변하는 교육환경 속에서 학문적 전문성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역에 관한 교양과 교육에 대한 철학적 기반을 요구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와 요구를 인문적 역량으로 정의하고, 문헌 분석과 행동사건면담, 그리고 전문가 검토를 통해 총 24개의 인문적 역량을 도출하였다. 또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n=215), 24개의 인문적 역량에 대한 요구와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들은 인문적 역량을 매우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고, 특히 자기 이해 및 존중과 교육행위 성찰에 관한 역량을 우선적으로 요구하였으며, 대부분의 세부역량에서 중요 수준보다 보유 수준이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인문적 역량이 향후 교사교육과 교육정책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 조사도구
  3. 자료분석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나실 Park, Na Shil. 서울대학교
  • 우한솔 Woo, Han Sol. 실베니아주립대학교
  • 박유진 Park, Yu Jin. 서울대학교
  • 장도현 Jang, Do Hyun. 서울대학교
  • 조영환 Cho, Young Hoan. 서울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