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educational needs of newly employ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improve their job competences by figuring out difference between the importance levels and current performance levels of teachers' competences. To achieve the objective, the researcher composed 'Core competency model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 questionnaire survey was made to 360 newly employ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rea(Number of valid questionnaires : 350, Valid collect rate : 97.8%).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Borich's needs assessment formula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LFM).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perceived importance levels of the teachers' competence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urrent performance levels. This means that newly employ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do not have sufficient teachers' competences. 2) Newly employ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high educational needs on teachers competence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y had high educational needs for competences needed for ‘suggesting appropriate and various questions’, ‘providing personality education’, ‘understanding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setting a appropriate goal for students considering their interests, needs, and capacities’. In order to develop newly employed teachers' competences, We need to have concern about their educational needs and provide proper assistance for them.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초임교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요구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에 선행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한 역량들을 중심으로 ‘초등교사 핵심역량 모형’을 구성하였고, 경력 5년 미만의 교사 3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 초임교사는 도출된 31개의 역량에 대해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그 중요도를 인식하고 있었으나 수행수준은 보통정도로 드러나, 모든 역량에서 중요도와 수행수준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발문의 다양성 및 적절성’, ‘평가결과에 대한 적절한 피드백 제공’, ‘학생의 특성 이해’, ‘평가 결과 분석 및 활용’, ‘상담’, ‘학습자의 흥미, 요구, 능력에 맞는 목표설정’역량의 중요도와 수행수준 간의 차이가 큰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Borich의 요구도 분석법과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활용하여 중복 검증한 결과, 초등 초임교사는 ‘학생지도’에 높은 교육요구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초등 초임교사들은 ‘학생지도’ 역량군에 속한 역량 중 ‘발문의 다양성 및 적절성’, ‘학생의 특성 이해’, ‘인성 및 기본생활습관 지도’, ‘학습자의 흥미, 요구, 능력에 맞는 목표 설정’역량에 높은 교육요구를 지니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초임교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교사 역량
2. 초등교사 핵심역량 모형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
2. 조사도구
3. 자료 처리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1. 중요도 인식과 실제 수행수준 간의 차이
2. 초등 초임교사의 교육요구 및 우선순위 분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