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웰니스 및 융복합

근로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on Worker's Quality of Life

박은희, 김혜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marital satisfaction, depression, and self-esteem on the quality of life. 131 workers in K are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March 15nd, 2017 to April 10th, 2017. The quality of life was measured by means of Korean version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 WHOQOL-BREF. Descriptive statics, t-test, two-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 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WIN 18.0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As a result of study, it was confirmed that regular workers were higher than irregular workers in the quality of life, marital satisfaction, depression, and self-esteem all. The quality of life was explained by the martial satisfaction, depression, averagely monthly pay, and spouse relationship as 34.3%. It is necessary to essentially implement the government’s support and the corporate cooperation for the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 in order to enhance the life quality of workers. Also, workers need to give value to themselves leading their life and form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eople around them not to let their family life be negatively affected due to the employment stress.

한국어

본 연구는 결혼만족도, 우울, 자아존중감이 삶에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대상자는 K지역의 근로자 131명을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수집은 2017년 3월 15일부터 2017년 4월 10일까지 진행하였다. 삶의 질은 Korean version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 WHOQOL-BREF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t-test, two-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와 step wise multiple regression 으로 SPSS/WIN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 였다. 연구결과, 삶의 질, 결혼만족도, 우울, 자아존중감 모두 정규직이 비정규직보다 높게 측정되었으며, 삶의 질을 결혼 만족도, 우울, 월 평균수입, 배우자 관계가 34.3%로 설명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근거로 근로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근로조건 향상을 위한 정부차원의 지원과 기업의 협력이 필수적으로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근로자는 고용스트 레스로 인해 가정 생활이 영향 받지 않도록 항상 자신을 삶을 주도할 수 있도록 자신에게 가치를 부여하고 주변 사람들과 긍정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자 및 자료수집
  2.3 연구도구
 3. 연구결과
  3.1 일반적 특성
  3.2 변수의 정도
  3.3 고용형태에 따른 변수 차이
  3.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차이
  3.5 결혼만족도와 우울에 따른 삶의 질 차이
  3.6 변수간의 상관관계
  3.7 삶의 질의 예측 변수
 4. 논의
 5. 결론
 ACKNOWLEDGMENTS
 REFERENCES

저자정보

  • 박은희 Eun-Hee Park. 광주여자대학교 간호학과
  • 김혜숙 Hye-Suk Kim. 목포 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