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웰니스 및 융복합

소년원보호소년의 사회적 유대가 자기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Effects of Social Bonding on Self-Competence of Juvenile Inmates :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이시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bonding on self-competence in the juvenile delinquency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The data of 908 juvenile inmates in a Study on Measures to Develop Entrepreneurship Education Model and to Encourage Start-up for Youth(2015)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ere analy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1) social bonding was found a key factor affecting the self-competence, (2) their social bonding affects self-esteem, (3) self-esteem affects self-competence, (4) self-esteem was proved to have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effects of social bonding and self-competence.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reviewed, as are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한국어

본 연구는 소년원보호소년의 사회적 유대가 자기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사회적 유대와 자기유능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5년 청소년 기업가 정신 함양 및 창업활성화 방안 연구Ⅱ의 횡단조사 자료를 토대로 소년원보호소년 총 908명을 대상 으로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년원보호소년의 사회적 유대는 자기유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년원보호소년의 사회적 유대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년원보호소년의 자아존중감은 자기유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소년원 보호소년의 사회적 유대가 자기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소년원보호소년의 자기유능감 및 사회적유대와 자아존중감 증진 방안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함의를 제안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모형
  2.2 분석자료
  2.3 측정도구
  2.4 자료분석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주요 변수의 기술 통계
  3.3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
  3.4 매개효과 검증
 4. 결론
  4.1 연구결과의 요약 및 논의
  4.2 연구의 한계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시연 Si-Yeon Lee. 서울장신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