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housing environment on single mothers’ health and to find out how to improve their health and housing environment. For the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Single-parents survey carried out by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in 2015. The results are as follows. When residential functions such as mining, heating, and noise are not fulfilled amo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single-mothers are more likely to feel unhealthy. Among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housing, people who live in public rental housing are more likely to feel unhealthy than those living in own house. And people who have excessive household debt are less healthy than those having no debt.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housing environm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of single-mothers. Based on the results, the author suggested that housing improvement services, survey of housing conditions of single parents, provision of services considering household debt and improving residential conditions of public rentals houses should be implemented.
한국어
본 연구는 주거 환경이 한부모 여성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이들의 주거와 건강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 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여성가족부에서 실시한 ‘2015년 한부모실태조사’를 활용하였으며, 주거환경의 물리적 특성과 사회경제적 특성이 주관적 건강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로지스틱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주거의 물리적 특성 중 채광, 난방, 소음 등과 같은 주거 성능이 충족되지 되지 않는 상황에서 한부모 여성들은 건강하지 못하다고 느낄 확률이 높았다. 주거의 사회경제적 특성에서는 자가 보다는 공공 임대에 거주하는 경우와 주거로 인한 과한 부채가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건강하지 못하다고 인식할 확률이 높았다. 우울에는 주거의 사회경제적 특성만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자가보다는 공공임대주택인 경우와 과도한 주거 부채가 있는 경우가 우울감을 느낄 확률이 높았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 로, 한부모 여성의 건강 증진을 위하여 주거개선서비스의 필요성과 주거실태조사, 주거 부채를 고려한 서비스 제공, 공공 임대주택의 주거 환경 개선의 필요성 등을 제언하였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선행연구 검토
2.1 주거와 건강
2.2 한부모 여성의 주거와 건강
3. 연구 방법
3.1 분석자료
3.2 주요 변수
4. 연구 결과
4.1 일반적 특성
4.2 주거환경이 주관적 건강 수준에 미치는 영향
4.3 주거환경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5. 결론 및 논의
5.1 결론 요약
5.2 연구 제언 및 한계점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