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진로탐색효능감과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직업정보인지도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Test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ognitive Level of Occupational Information in the Relation of Career Search Efficacy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s

박서연, 류정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ognitive level of occupational information in the relation between career search efficacy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s. Paper-pencil questionnaires and self-report tests were administered to 394 college students.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al analys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the models with career search efficacy as the cognitive level of occupational information as mediator,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s as outcome variable, the partial mediation model fitted the data better than the complete mediation model. Second, in the partial mediation model, the path coefficients of「career search efficacy→the cognitive level of occupational information」,「the cognitive level of occupational information→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s」, and「career search efficacy→the cognitive level of occupational information」were all significant.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ognitive level of occupational information in the relation between career search efficacy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s was significant.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present findings were discussed.

한국어

이 연구는 진로탐색효능감과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직업정보인지도의 매개효과를 검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에 소재하는 2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394명을 대상으로 직업정보인지도 척도, 진로탐색효능감 척도, 취업준비행동 척도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활용하여 검증 하였다. 연구는 진로탐색효능감을 예언변수로 직업정보인지도를 매개변수로, 취업준비행동을 결과변수로 설정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완전매개모형보다 부 분매개모형이 더 적합한 모형으로 판명되었다. 둘째, 진로탐색효능감→직업정보인지도, 직업정 보인지도→취업준비행동, 진로탐색효능감→취업준비행동의 경로계수는 모두 유의하였다. 셋째, 진로탐색효능감과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직업정보인지도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즉 진 로탐색효능감이 취업준비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직업정보인지도를 매개 하여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다. 이를 통해 취업준비행동을 높이기 위해 진로탐 색효능감을 높이려는 노력과 더불어 직업정보인지도를 향상시키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상담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진로탐색효능감과 취업준비행동의 관계
  2. 진로탐색효능감과 직업정보인지도의 관계
  3. 직업정보인지도와 취업준비행동의 관계
 Ⅲ. 연구 방법
  1. 매개모형의 설정
  2. 연구대상 및 조사방법
  3. 측정도구
  4. 자료분석
 Ⅳ. 결과
  1. 진로탐색효능감, 직업정보인지도, 취업준비행동 간 관계
  2. 진로탐색효능감, 직업정보인지도, 취업준비행동의 관계모형 검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서연 Seo-Yeon Park. 호남대학교
  • 류정희 Jeong-Hee Lyu. 광주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