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장애인의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학부모 대상 평생교육 산업인력 양성방안

원문정보

Training of Lifelong Education Industrial Workers Among Parents for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Competency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김영준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a method of training lifelong education industrial workers among parents for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competency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Organizational function system and education curriculum function system, which are essentially required to train lifelong education industrial workers among parents, were selected as important details of this study. First, for organizational function system, a collaborative system among relevant institutions centered on National Institute for Lifelong Education was proposed to manage and plan out major projects on training of lifelong education workers. Next, for education curriculum function system, basic contents of curriculum,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ex-post learning method were discussed to maintain interconnectedness with organizational function system.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의 직업능력개발 차원에서 학부모를 대상으로 하여 평생교육 산업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학부모 대상 평생교육 산업인력을 양성하는 데 있어서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조직기능체계와 교육과정기능체계를 연 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연구 내용으로 설정하였다. 먼저, 조직기능체계에서는 평생교육 산 업인력 양성을 주요 사업을 총괄․기획할 수 있는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을 기반으로 한 유관기관 간 협업체계가 제시되었다. 국가평생교육진흥원과 국립특수교육원 내 국가장애인평생교육센터 및 행 정부서 기반의 대학 평생교육원 간의 협업을 대조직으로 설정하였으며, 지역구 평생교육진흥원과 시․도교육청 및 학과 기반의 대학 평생교육 간의 협업을 중조직으로 설정했다. 그리고 위의 대조 직 및 중조직의 수직적 연계성을 기반으로 하여 학부모가 평생교육 산업인력 자격을 취득하기 위 해 교육과정을 이수해야 할 세부적인 실행기관(예: 가정, 특수학교, 전공과 등)을 소조직으로 설정 하였다. 이어, 소조직의 실행기관별 역할기능을 종합하여 네 가지 요소의 자격신설체계를 비롯한 자격활용의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교육과정기능체계에서는 조직기능체계의 결과와 상 호 연계성을 유지하는 차원에서 현행의 일반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기반으로 한 장애 맞춤형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구축이 우선적으로 전개되어야 한다는 입장이 반영되었으며, 이를 통해 학부모가 자녀 지도를 위하여 활용하기에 적합한 전문 직무와 직업기초능력, 전반적이고 직업 연 계 가능한 자립기능을 교육과정의 기초 내용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교육과정의 기초 내용 과 연계한 역량기반 교육과정이 학부모의 자격 취득을 위한 교육과정 이수 방안으로 제시되었고, 이어 학부모 자격 취득 후 사후학습 지원방안도 마련했다.

목차

초록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과 방법
  3. 용어의 정의
 Ⅱ. 양성 조직기능체계
 Ⅲ. 양성 교육과정기능체계
 Ⅳ. 논의 및 결론
  1. 양성 조직기능체계
  2. 양성 교육과정기능체계
  3. 자격 관련 추가적인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영준 Young-Jun Kim. 상명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