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plan for implementing qualification system for recognition of prior work experience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is, case studies of qualifications for RPL in advanced countries (France, Australia, UK, Scotland) were examined. Moreover, in order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scope and criteria of RPL proposed in the plan, expert council meeting was held during the developmental stage of the projec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range of recognition of field experience may vary depending on the category and grade of the qualification. When establishing the range of accreditation for the field experience, the suitability between the field experience obtained by the individual, and the qualification applied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urthermore, the update of work experience, and the possibility of verification should als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Secondly, the qualification criteria for the field experience can be set as the minimum duration of work experience required for the respective category and grade of each grade, the criteria for qualification, and the certification standard. In order to set the minimum years of required work experience according to each qualification item and grade, the minimum work experience needed to reach the needed proficiency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before setting the examination criteria. Moreover, the exam questions and testing criteria could be designed based on work experience. Thirdly, to ensure the smooth operation of the system in its early stage of implementation, HRD Korea should take the role of supervising the approval of qualification items for recognition of prior work experience. However, in the long term, this role can be delegated to other evaluation committee or institutes including ISC and industries; while HRD Korea should manage the issuance and acquisition of certificates. Fourthly, the implementation of qualification system for recognition of prior work experience could be achieved in 6 steps: 1) Developing an evaluation plan, 2) Presentation and announcement of work experience evaluation, 3) Consulting and acceptance of applicants, 4) Assessment of work experience, 5) Review of assessment results, 6) Notification of results and certification issuance.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에서 현장경력 인정형 자격제도의 현장 도입 방안을 도출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국내ㆍ외 주요국(프랑스, 호주, 영국(스코틀랜드))의 현장경력 인정형 자격의 사례를 고찰하였고, 현장경력 인정 범위 및 기준과 도입 방안을 개발하였으며, 타당성 을 확보하기 위한 전문가협의회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현장경력의 인정 범위 설정 시 기본적으로 개인이 획득한 현장경력과 신청하고자 하는 자격과의 적합성, 현장경력의 최신성, 검증가능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현장경력의 인정기준은 자격 종목과 등급별 응시자격에 서 요구하는 최소 현장경력 기간의 충족 여부, 자격의 출제기준 및 검정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현장경력 기간 충족 여부는 숙련도 수준을 달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최소 현장경력 기간 을 고려하여 응시요건을 설정하고, 출제기준 및 검정기준을 현장경력의 평가기준으로 설계할 수 있다. 셋째, 현장경력 인정형 자격 종목의 검정 시행은 도입 초기에는 제도의 원활한 운영 을 위해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총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장기적으로는 평가위원회 혹은 평 가 수탁 기관(ISC 및 산업체 등)에 평가의 권한을 위임하고, 한국산업인력공단은 자격증 발 급 및 취득자를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현장경력 인정형 자격제도는 1) 평가계획 수립, 2) 현장경력 평가 사업설명회 및 공고, 3) 컨설팅 및 신청 희망자 접수, 4) 현장경력 심사, 5) 평가 결과 심의, 6) 결과통보 및 자격증 발급의 6단계에 따라 운영될 수 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 필요성
2. 연구 내용
3. 용어의 정의
Ⅱ. 국내외 현장경력 인정 관련 자격제도 운영 사례 분석
1. 우리나라 현장경력 인정 관련 자격제도 운영 사례
2. 주요국의 현장경력 인정 관련 자격제도 운영 사례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1. 현장경력의 인정 범위 및 기준
2. 현장경력 인정형 자격제도의 현장적용 방안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