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Korean game industry is a key issue for the creation of competent and talented human resources for the production of competent cont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how to characterize and educate human - friendly game graphic designers with global competitiveness. The success of multi-disciplinary education will be maximized when cooperation with the responsible professors, the active will of the professor, the educational vision of the school, and real-time and active administration are support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analysis of demand and supply of the human resources in the game industry, we found out that the game industry requires specialized manpower of technology-friendly game graphic designer who has the creativity, practical application ability, and the international competency. In addition, we suggested ways of linking the curriculum with the local industries and related organizations such that they could be well educated as experts in related fields.
한국어
한국 게임 산업의 성패는 역량 있는 콘텐츠 제작을 위한 융복합 인재 배출 여부가 관건이 되고 있으며, 디지털 콘텐츠는 지역을 초월하여 흥행하는 속성이 있으므로, 전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는 기술친화형 게임그래픽디자이너 인력양성 특성화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학제적인 교육 방법의 성패여부는 해당 전공 책임 교수들과의 협조와 해당 전공 책임교수의 적극적인 의지, 해당 학교의 교육적인 비전 공유와 적극적인 행정서비스가 실시간적으로 지원되는지 그 여부에 여해 결정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게임산업 특성화 분야 인력에 대한 수요 공급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기술 친화형 전문 게임 인력에게 요구되는 창의력, 실무 경험 및 국제적 역량을 함양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관련 산업분야 전문 인력으로 육성할 수 있도록 지역 산업체 및 유관 기관과의 연계 방안 과 교과과정의 구성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는데, 이러한 방안은 특성화 배경의 필요성에 의해 제시된 요구사항들을 분석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도출된 방안으로써 나름의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특성화 추진 배경
2.1 전문 게임그래픽 인력에 대한 수요와 공급
2.2 기술 친화형 인력 양성의 필요성
2.3 전문 게임 인력에게 요구되는 능력의 배양 방안 : 창의력, 국제적 역량, 실무 경험
2.4 문화콘텐츠관련 지역 교육기관과 지역의 산업 육성 계획과의 연계 발전 방안 고려
3. 기술친화형 게임그래픽 교과과정 개발
3.1 배경
3.2 추진 전략
3.3 기술, 예술 융합형 교과과정 구조 제안
4. 결론
ACKNOWLEDGMENTS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