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인도 종교의 음식 문화와 심신 수행의 기제 - 자이나교의 단식(斷食) 수행 의례와 심신 정화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Mechanism of the Food Culture and Practicing of Mind and Body in the Religions of India - A Purification of Mind and Body Focusing on the Fast(Anaśana) of Jainism -

김미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Jainism, fasting(anaśana) is not only a religious ritual, but an ideal way of life. In this paper, I tried to explore the relation of food and desire, karma and purification clear focusing on the fasting ritual of Jainism. My research materials are Jaina Sūtra, that is, Sthānāṃga sūtra, Uttarādhyayana sūtra, Tattvārtha sūtra, Kalpa sūtra, and Buddhist Sūtra and Vinaya literature. In Jaina tradition, fasting is characterized by two sides : asceticism and ritual forms. How long did the fasting, which has been excluded from practicing in Buddhist tradition, continue to exist in Jainism, in a very diverse way?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karma theory of philosophical system of Jainism. Jaina analyzed the desire to eat as a form of karma. And jīva(soul) is contaminated by karma. The process of contamination of soul is closely linked to the food flowing into the body. As a result, Jaina carried out fasting as their duties very strictly. There are many ritual fasting, for example, paryūṣaṇa mahāparvan, daśalakṣaṇa parvan, poṣadha-pratimā, ekāśana, vrata. Paryūṣaṇa is the most famous and important ritual for fasting in Jainism.

한국어

자이나교에서 단식은 일상적인 의례이며 이상적인 삶의 한 방식이다.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욕망과 음식의 관계, 단식 의례의 사상적 이론과 배경을 자이나교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자이나교에서 단식은 고행의 측면과 관습적인 의례의 일종이라는 두 특성이 병립하고 있다. 자이나 교단에서 단식 수행법이 다양한 기간 동안의 집단적인 의례, 즉 포샤다, 파리유샤나, 브라타 등으로 정착되었던 데에는 그 특유의 카르마 이론이 있다. 자이나교에서는 식욕으로 인한 감각적인 고통을 카르마의 일종으로 분석하고, 카르마로 빚어지는 악업과 선업, 그리고 해탈로 이어지는 궁극적인 영혼의 정화가 신체 내부로 유입되는 물질, 즉 음식과 긴밀한 관련성을 지닌다고 보았다. 물질성을 띤 카르마로 인하여 영혼이 오염된다고 보았던 자이나 교도에게 물질적인 음식은 가장 오염되기 쉬운 물질인 동시에 신체로 유입되는 것 중에서도 가장 용이하게 구별해 낼 수 있는 대상이었다. 그 결과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미리 유입을 차단, 지멸하는 단식이 매우 용이한 수행법으로 고수되었고 의례와 전통이 되었다. 또한 음식을 구하기 위해서 불가피하게 자행되는 생명의 손상과 악업의 증진 이론은, 그들이 단식을 일상화 또는 의례화하고 더 나아가 삼매사(三昧死)를 고안하기에 이르렀다.

목차

요약문
 1. 서론
 2. 단식과 욕망의 관계
 3. 단식 수행 의례
 4. 단식 수행의 이상과 목적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미숙 Kim, Mi Suk. 동국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