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黃宗羲 『易學象數論』의 「河圖」·「洛書」 비판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riticism of Hetu-Luosh(河圖洛書) Theory in Huang Zong-xi's Yixuexiangxhulun

황종희 『역학상수론』의 「하도」·「낙서」 비판에 관한 연구

김동현, 유흔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Huang Zong-xi has summarized his lifelong academic point of view as theory of innate goodness and a new perspective on Hetu(河圖)-Luoshu(洛書). This paper is a study of a new view of his Hetu-LuoshuLon(河圖洛書論) among them. His new point of view is that ‘Hetu’ and ‘Luosh’ are ancient maps or sculptures. This view is presented in his Sixth Episode of Yixuexiangxhulun, Vol. 1, which is a study of it. Huang Zongxi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cholars of Yijing in the late Ming and early Qing Dynasty. Yixuexiangxhulun is his very important book of Yijing learning. Yixuexiangxhulun consists of 3 inner volumes and 3 outer volumes. The inner volume mainly discusses the ‘xiang(象)’ and the outer volume mainly discusses ‘shu(數)’. This book is a criticism of scholar’s Hetu-LuoshuCongenitalology(河洛先天學) of the Song Dynasty, especially from the viewpoint of the unification of Li and Ki and monism of Ki, and the criticism of ‘Hetu’ and ‘Luosh’ is the basis of the book. Huang Zongxi‘s principle of pragmatics was to interpret the Qing(經) as a sentence of scriptures(經傳). His critique of Xiang-shu Yijing learning is consistent with this principle, and therefore has limitations that are limited to critical criticism. But his criticism does not mean anything. This is because his Yixuexiangxhulun is the result of recovering all the mystical interpretations surrounding Hetu-Luoshu and returning them to the original Yijing learning. It can be said that Huang Zongxi's ultimate goal of criticizing constant ‘xiang’ and ‘shu’ learning was to return the main character to the use of human daily life. It was his purpose to criticize Hetu and Luoshu to eliminate all kinds of mystical and metaphysical interpretations developed around Hetu and Luoshu.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Huang Zongxi Yijing learning through a brief analysis.

한국어

황종희는 자신의 평생 학술 요점을 ‘性善論’과 ‘「하도」·「낙서」에 대한 새로운 견해’의 두 가지로 요약한 적이 있다. 이 논문은 그 가운데 ‘「하도」·「낙서」에 대한 새로운 견해’를 분석한 것이다. 그의 ‘새로운 견해’란 「하도」·「낙서」가 고대의 地圖이자 地理書라는 것을 가리킨다. 이 견해는 그의 『역학상수론』 권1 중 「圖書」 6편에 나타나 있는데, 이 논문은 그것을 연구한 것이다. 황종희는 明末淸初의 가장 중요한 易學者 중의 한 사람이고, 『역학상수론』은 그의 역학 저작에서 가장 중요한 저술이다. 『역학상수론』은 내편 3권과 외편 3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내편은 주로 ‘象’을 토론한 것이고 외편은 주로 ‘數’를 토론한 것이다. 이 책은 理氣合一 또는 氣一元의 관점에서 특히 宋儒의 河洛先天學을 비판한 것이고, 그 가운데 「하도」·「낙서」설에 대한 비판이 기초를 이루고 있다. 황종희의 경학 원칙은 經傳의 문장으로 經을 해석한다는 것이었다. 그의 상수역학 비판은 이 원칙으로 일관되어 있기 때문에 주로 고증학적 차원의 비판에 그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그의 비판이 아무런 의미도 갖지 않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그의 『역학상수론』은 「하도」·「낙서」를 둘러싼 온갖 신비주의적 해석을 걷어내고, 본래의 담박한 역학으로 되돌린 공로가 있기 때문이다. 『주역』을 인간의 일상생활의 쓰임으로 다시 되돌리는 것이 곧 황종희가 상수역학을 비판하는 궁극적인 목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하도」·「낙서」를 둘러싸고 전개된 온갖 신비주의적이고 형이상학적인 해석을 제거하는 것이 「하도」·「낙서」를 비판하는 그의 목적이었던 것이다. 이 논문은 간략한 분석을 통하여 황종희 역학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목차

요약문
 1. 머리말
 2. 황종희의 象論과 상수학 비판의 요지, 목적
 3. 황종희의 圖書說 비판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동현 Kim, Dong Hyun. 동국대학교
  • 유흔우 Yoo, Heun Woo. 동국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