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비정규직 제로화 정책에 따른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제도의 쟁점과 대안

원문정보

Issues and alternatives to regularization of elementary school sports instructors

한상모, 유생열, 김재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flict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university of eduction students and sports instructors about the transition of elementary school sports instructors to full - And to present a new role for sports instructor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postings and comments on the government - run website, Gwanghwamun 1st Street, the Jobs Commission, and Indie School,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community, and personal blogs.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dures(White and Marsh, 2006) were utilized for data analysis. In this study, the two groups were confronted face to face with economic difficulties and procedural legitimacy. However, in the depths of such a phenomenon, there was a conflict to secure hegemony of teaching rights. The sports instructors wanted to increase their status in the school by securing their own teaching rights and to have the same position with the teachers. On the other hand, elementary teachers and university of eduction students were concerned that they had a trauma to the middle school teacher system and that it would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drop in public education quality and recruitment of new teachers. However, in order to comply with the educational trend of convergence education, it is appropriate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do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order to integrate the curriculum. In other words, it is effective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do physical education classes directly and sports instructors to support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directly. This study suggests the main tasks of sports instructor as follows. 1) operation and guidance of school sports clubs, 2) support for physical education classes, 3) elimination of gaps in physical activity experiences, and 4) customized training for school teachers. These transition of tasks will promote coopera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ports instructors and contribute to school physical education.

한국어

이 연구는 정부가 일자리 창출을 위해 공공부문에 대한 정규직 전환을 추진하는 가운데 발생한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의 정규직 전환을 둘러싸고 초등교사 및 교육대학교 학생 대 스포츠강사간의 갈등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스포츠강사의 새로운 역할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정부가 운영하는 홈페이지인 광화문 1번가와 일자리 위원회의 게시글, 초등학교 교사 커뮤니티인 인디스쿨과 개인 블로그의 게시글 및 댓글을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해 White와 Marsh(2006)의 질적 내용 분석 절차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두 집단은 표면적으로 경제적어려움과 절차적 정당성을 두고 대립하고 있으나 심층에는 수업권이라는 헤게모니를 확보하기 위한 갈등이 있었다. 스포츠강사들은 독자적인 수업권 확보를 통해 학교 내 위상을 높이고 더 나아가 교사와 동일한 위치를 갖고자 하였다. 반면 초등교사와 교육대학교 학생들은 중초교사제도에 대한 트라우마를 갖고 있었으며 신규교사 채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를 하고 있었다. 그러나 창의 융합교육이라는 교육의 흐름을 보았을 때 교과간 통합수업을 하기 위해서는 초등교사가 직접적인 체육수업을 하고 스포츠강사는 간접적인 체육수업지원을 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에 대해 스포츠강사의 업무 항목 중 기존의 주당 21시간 수업 보조를 삭제하고 1)학교스포츠클럽의 운영과 지도, 2)체육수업 지원, 3)학생 간 신체활동 경험의 격차 해소, 4)교내 교사 맞춤형 연수의 네 가지 업무로 전환할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업무의 전환은 초등교사와 스포츠강사의 협력을 증진시키고 학교체육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자료 수집
  2. 자료 분석
 Ⅲ. 두 개의 목소리
  1. 초등학교 스포츠강사들의 절규
  2. 초등교사와 교대생들의 반발
 Ⅳ. 가지려는 자와 지키려는 자
  1. 수업권을 가지려는 자
  2. 수업권을 지키려는 자
  3. 문간에 발 들여놓기
 Ⅴ. 역할의 전환을 통한 더부살이
  1. 초등학교 체육수업의 미래
  2. 역할의 전환을 통한 모두의 승리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한상모 Han, Sangmo. 아미초등학교
  • 유생열 Yoo, Seangleol. 경인교육대학교
  • 김재운 Kim, Chaewoon. 경인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