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지리지(地理誌)』에 나타낸 歷史的 記錄
1. 이산(籬山)과 울산(蔚山)
2. 천후산(天吼山)
Ⅲ. 『지도(地圖)』에 나타나는 여러 地名
1. 관찬지도(官撰地圖)
2. 전국지도(全國地圖)
3. 지방지도(地方地圖)
Ⅳ. 「기행문(紀行文)」에 나타낸 천후산(天吼山)
1. 천보산(天寶山)과 읍산(泣山)
2. 천후산(天吼山)
Ⅴ. 「기문(記文)」과 「한시(漢詩)」
1. 기문(記文)
2. 한시(漢詩)
Ⅵ. 맺음말
Ⅱ. 『지리지(地理誌)』에 나타낸 歷史的 記錄
1. 이산(籬山)과 울산(蔚山)
2. 천후산(天吼山)
Ⅲ. 『지도(地圖)』에 나타나는 여러 地名
1. 관찬지도(官撰地圖)
2. 전국지도(全國地圖)
3. 지방지도(地方地圖)
Ⅳ. 「기행문(紀行文)」에 나타낸 천후산(天吼山)
1. 천보산(天寶山)과 읍산(泣山)
2. 천후산(天吼山)
Ⅴ. 「기문(記文)」과 「한시(漢詩)」
1. 기문(記文)
2. 한시(漢詩)
Ⅵ. 맺음말
저자정보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