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작업 수행 중 SNS 사용과 작업 성과의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작업의 난이도에 따른 차이 분석

원문정보

An Exploratory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Use during a Task and Task Performance : An Analysis of Task Complexity Difference

민진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lth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networking sites (SNS) use and performance has been widely studied, most of these studies have focused on comparing the SNS users’ overall performance with that of non-SNS users instead of examining how using SNS midway of a task affects one’s task performance. To address this research gap,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SNS use during a task and its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that task. In this experiment, the role of SNS in various situations was examined by reviewing the literature on break and performance as well as the types of breaks and tasks. Owing to its exploratory nature, this study used various types of data, such as electroencephalography interpretation data generated from a brain–computer interface, self-reported data, and data recorded by a computer. Those participants who used SNS showed an improved performance compared with those who took a short break while doing a simple task. Further analysis showed that the degree of SNS usage and engagement with SN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participants’ simple task performance, while social presence and reassurance of self-worth had negative and positive effects on the participants’ complex task performance, respectively.

한국어

SNS 사용과 성과의 관계에 관해서는 여러 연구가 있어 왔으나, 대부분의 선행 연구들은 작업 도중 SNS의 사용이 해당 작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보다는 SNS 사용자와 비사용자의 평소 성과를 비교하여 긍정적, 혹은 부정적이라는 서로 상반된 결론을 내려왔었다. SNS의 사용이 공간과 시간의 제약 없이 일상화된 만큼,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존 연구들을 보완하고자 실험 설계를 통하여 작업 도중 SNS의 사용과 해당 작업의 성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휴식과 성과, 작업의 종류와 휴식의 종류에 대한 기존 문헌을 토대로 SNS의 역할을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단정 짓지 않고 다양한 상황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려 하였으며, 그 방법으로 실험 참여자의 뇌파 해석, 자기 보고, 컴퓨터 기록 등 다양한 측정지표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간단한 작업 도중 SNS를 사용할 경우 단순 휴식을 취했을 때 보다 이후 성과가 개선되었으나, 복잡한 작업 도중 SNS를 사용한 경우에는 그 개선도가 단순 휴식과 비교했을 때 차이가 없었다. 추가 분석 결과 SNS 사용 후 성과가 개선된 참여자들의 경우, 간단한 작업을 수행한 참여자의 경우에는 SNS 사용 경험 및 몰입도가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복잡한 작업의 경우에는 자아 존중감 확인은 긍정적, 사회적 실재감은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 가설
  2.1 작업의 종류와 성과: 사회적 촉진(Social Facilitation)
  2.2 휴식과 작업 성과: 행동 통제의 제한된 자원모형(Limited Resource Model of Behavior Regulation)
 Ⅲ. 연구 방법
  3.1 실험 절차
  3.2 실험 조작: 실험 복잡도에 따른 작업의 종류
  3.3 측정
 Ⅳ. 연구 결과
  4.1 실험 참여자의 인구통계 분석
  4.2 실험 조작 검증(Manipulation Check)
  4.3 가설 검증
  4.4 추가 분석
 Ⅴ. 연구 시사점 및 한계점
  5.1 연구결과 논의
  5.2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
  5.3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탐색적 분석에 사용된 설문 문항
 Abstract

저자정보

  • 민진영 Jinyoung Min. 조선대학교 경영학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