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본 고전에 나타난 뱀의 상징성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ymbolism of snake, Japanese classic

문인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has been reviewed the symbolism of the snake appearing in the classical Japanese literature in relation to the snake's eye. In the ancient literature of Japan, it can be understood that snakes have an antinomical symbolic meaning of guardians and disasters as well as the meanings of the rites of passage through which to acquire heroism mainly through the use of the exaggerated external features. Unlike the atmosphere of the Heian era, which pursued a delicate and elegant world, the snake became blatantly a symbol of man, the penis because of the physical feature. With the Buddhist thought such as punitive justice, the eternal cycle of birth, etc, religious and instructional colors were enriched and the spectrum of the various meanings was expanded. As a result, the masculine, aggressive, and divine image of the ancient literature has been faded and it was treated as one of the humble animal with the Buddhism or fallen into the subject of obscenity. In the medieval literature, the snake succeeded to the snake's spiritual power, which proves heroism related to war, even though it had been dwarfed as compared to the ancient literature and demoted as Buddhism guardian which does not have an original divinity. Embracing images the images of the ancient literature drawn as a primitive but powerful spiritual being, a symbolic system was formed. As the snake's eyes combined with the symbols of the guardian and disaster and the Miwansan legend that the descendants of the snake god lays heroes it seems to be developed as a family crest. It is claimed that the snake's eye, which symbolizes the crystal of all spiritual powers, was projected on the snake eyes of the family crest, regardless of the representive images of the snake like attackability and conical shape.

한국어

본고는 일본 고전문학에 나타나는 뱀의 상징성을 뱀눈 문양(蛇の目)과 관련지어 재조명했다. 상대문학의 뱀은 주로 확대 과장한 외형적 특징을 이용해 영웅성을 획득하는 통과의례의의미와 함께 수호신과 재앙신이라는 이율배반적인 상징의미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平安 時代의 섬세하고 우아한 세계를 추구했던 분위기와는 달리, 뱀의 신체적 특징은 노골적으로남근이라는 남성성의 상징이 되는 한편, 불교의 인과응보 사상, 육도윤회 사상 등과 맞물려종교적, 교훈적 색채가 농후해지는 현상을 보이며 다양한 의미의 스펙트럼이 확대되었다. 그 결과 상고문학의 남성적, 공격적, 신적인 이미지는 퇴색되고, 불교와 접목되어 축생의 하나로 다뤄지거나 엽기적 음담패설의 대상으로 전락된 측면이 강하다. 중세문학에서는 뱀은上代에 비해 왜소해지고 독자적 신위가 아닌 불법을 수호하는 주변적 신위로 격하되면서도전쟁과 관련된 영웅성을 입증하는 뱀의 영력은 그대로 계승되고 있었다. 원시적이지만 강력한 영적 존재로 그려지는 상대 문학의 이미지를 향수하며 하나의 상징체계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재앙신과 수호신이라는 상징의미와 뱀신의 후예가 영웅을 낳는다는 三輪山 전설의 신앙이 呪符로써의 蛇の目 문양과 합치하면서 家紋으로 발전했으리라고 본다. 따라서 뱀의 공격성과 원추형 모습이라는 뱀 이미지의 대표성과는 상관없이 뱀의 모든 영력의 결정체로써 구슬과 같은 주술성을 상징하는 뱀눈이 家紋에 투영되었다고 주장하는 바이다.

일본어

本稿は、日本の古典文学に於ける蛇の象徴性を家紋蛇の目と関連付けて再照明した。 上代文学のヘビは、主に拡大誇張された外形的特徴を利用して英雄性を獲得する通過儀礼 の意味と守護神とタタリ神という二律背反的なシンボルの意味を持つことが分かる。しかし、繊細 で優雅な世界を追求していた平安時代の雰囲気とは違って、ヘビの身体的特徴は、露骨に陰 茎という男性性の象徴となる一方、仏教の因果応報思想、六道輪廻思想などが、かみ合って 宗教的、教訓的色彩が濃厚になる現象を見せ、さまざまな意味のスペクトルが拡大された。そ の結果、上代文学の男性的、攻撃的、神的なイメージは衰退して、仏教と融合されて畜生の 一つとして扱われたり猟奇的ひわいな話しの対象に転落した側面が強い。中世文学では、ヘビ は上代に比べて小さくなって独自の神位ではなく、仏法を守護する周辺的神位に格下げされな がらも、戦争に関連する英雄性を立証するヘビの霊力はそのまま継承されていた。原始的だが 強力な霊的存在で描かれる上代文学のイメージを形成している。 これらのタタリ神と守護神という象徴の意味と蛇神の子孫が英雄を生むという三輪山伝説の信 仰が呪符としての蛇の目と合致しながら家紋にまで発展したと思う。したがってヘビの攻撃性と円 錐形の姿という蛇のイメージの代表性とは関係なく、ヘビのすべての霊力の結晶として呪術を象 徴する玉のような蛇の目が家紋蛇の目に投影されたと主張するものである。

목차

1. 머리말
 2. 일본 고전문학 속 뱀의 이미지
 3. 가문(家紋) 뱀눈 문양과 뱀
 4. 가문(家紋) 뱀눈 문양과 눈
 5. 맺음말
 reference
 국문초록
 일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문인숙 In-sook, MOON. 인천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