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mural paintings as a way of sanctifying and decorating buddhist hall to identify intended arrangement to express hierarchy of buddhist realm. It aims at analysing mural painting as a means of expressing religious rank, which takes different research perspectives from that of previous studies focused on forms and styles of the paintings. Buddhist Halls in Youngnam region, which is examined in this paper, preserves mural paintings in its original form. By recording and documenting mural painting in situ, this paper examines religious hierarchy expressed in the painting in terms of vertical, horizontal, and symmetrical perspectives. It argues that elements and motif in the paintings corresponds to object of worship characterizing buddha hall and responds to the theological demands of the period. First, horizontal hierarchy are displayed in the arrangment of buddhas of different rank, such as three buddhas, 53 buddhas, or a thousand buddhas, in different space in a buildings. Mural Paintings in the Hall of Ultimate Enlightment Buddha of Eunhasa temple, Sakyamuni Hall of Songrimsa temple and Bonghwanssa temple are the examples to display such arrangement. Vertical hierarchy is expressed in different space of different hight of a wall in a hall whereas horizontal one takes the central space of the hall as the hight rank. Vertical hierarchy makes two-dimensional wall space into three -dimensional one as displaed in Sakyamuni hall of Jikji temple and Hall of Vulture Peak of Tongdosa temple. Such multi-bracketed timber building enables mural paintings to express vertical hierarchy in a wall space from three dimensional perspectives, by placing paintings of different buddhas by the distance from the main buddha. Symmetrical hierarchy is effective way of highlighting the dignity and perfection of the object of worship, by using four directions, east, west, south and north, in a space. Such arrangement has been adopted in most mural paintings. Main hall highlights the main buddha whereas subsidiary hall are given freedom and flexibility in selecting themes and elements of a painting. In addition, mural paintings in Youngnam region express various religious themes such as scenes from a record called Seokssiwonlyueunghwasajeok which describes a biography of Sakyamuni buddha and his disciples, so that it provides useful information of understanding characters of buddha hall in the region. The scenes expressed in mural paintings in three temple of Youngnam region to depicts themes from Seokssiwonlyueunghwasajeok and Seoyugi and a painting called Eoramkwanumdo matches to the boundaries of a specific group of monk paintings of Imhyu who were a talented monk painter of the 18th century around Tongdosa temple. Therefore period of those mural paintings and the way of sanctifying main hall can be identified by analysing the activities of monk painters of the region. The above characters are limited in mural paintings of Youngnam region, such as Bulguksa temple, Youngyeonsa temple, and Youngcheonsa temple deciding regional characters. Selection of themes reflects to the demand of lay community and such practice had become general principle in wall painting of the period in Youngnam region.
한국어
본 연구는 사찰벽화를 예배대상이나 건축 구조물이 아닌 불전장엄의 주요대상으로 탐색하여, 불전 내 배치와 관련한 ‘위계’라는 관점에서 재조명한 것이다. 기존 벽화의 내용과 형식을 연구한 고정적 시각과 연구방법론에서 벗어나 종교적‘위계’라는 관점에서 사찰벽화를 검토하였다. 특히, 영남지역 불전은 조선후기 사찰벽화 가운데 원형을 보존하면서 모든 소재들을 집약하고 있다. 불전에 배치된 벽화의 배치구조를 실물조사를 통해 수평적, 수직적, 좌우대칭에 따른 종교적 위계로 구분하였고, 벽화의 소재들은 예배대상을 중심으로 전각의 성향을 대변하는 상징성을 띠는 동시에 당시의 신앙적 요구를 담보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먼저 수평적 위계는 동등한 존상을 위계로 배치하는 방법으로, 삼신·삼세불과 오십삼불, 천불 등 다불이 벽체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위격과 명호에 따라 체계화됨을 살펴 볼 수 있다. 은해사 백흥암 극락전, 송림사 대웅전, 봉황사 대웅전 등주로 영남지역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수직적 위계는 존상의 계층에 따른 수직적 계급을 위계로 표현한 방법이다. 수평적 위계가 본존의 어칸 중심의 정면을 강조하며 나열되었다면, 수직적 위계는공간이 다분화되며 수평에서 상하로의 확산을 거치며, 2차원적인 화면을 3차원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직지사 대웅전, 통도사 영산전 등 다포건물의 불전에서 본존과의 거리에 따라점차적인 수직적 위계가 형성되며, 상하좌우로 펼쳐진 입체적 공간을 통해 ‘위계적 점증’을 확인할 수 있다. 좌우대칭적 위계는 모든 벽화에서 동·서·남·북 4면의 방위를 중심으로 예배대상의 절대성과 위엄을 강조하는데 효율적으로 사용된 방법이다. 기본적으로좌우대칭적 위계가 모든 벽화에 채택되며, 주전각의 경우 전각과 본존의 성향을강조하는 소재가 중심이 되었다면, 부전각의 경우 소재의 자율성이 돋보인다. 또한 영남지역 사찰벽화는 배치에 따른 위계의 규범 외에 다양한 벽화의 소재가 불전의 성향을 파악할 수 있는 주제가 된다. 영남지역에서만 등장하는 석가모니와 전법제자의 행적을 묘사한 석씨여래응화사적, 삼종실지 범자문과 별자리소재를 통해 본존과 전각에 따라 벽화의 소재가 선택됨을 알 수 있다. 특히 영남지역 3곳의 사찰에서만 등장하는 석씨원류응화사적과 단순한 통속문학이면서 수행으로 깨달음을 얻는다는 서유기 도상, 후불벽의 <어람관음도>는 18세기 통도사를 중심으로 활동한 임한계열 화원들의 활동영역과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화승의 교류검토를 통해서도 벽화의 조성연대와 장엄법식의 추정이 가능하리라 본다. 이는 특정 벽화의 소재가 통도사를 중심으로 불국사, 용연사, 용천사 등 영남지역 사찰에 한정적으로 등장하고 있어 벽화 소재의 지역성을 살펴 볼 수 있으며, 화본의 확산을 통해 통도사 화승들의 신문화에 대한 포용성, 그리고 벽화 소재의신경향이 대중들의 바람에 부응하며 영남지역에 저변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대목이다.
목차
II. 영남지역 사찰벽화의 위계성
1. 사찰벽화의 수평적 위계
2. 사찰벽화의 수직적 위계
3. 좌우대칭적 위계
III. 영남지역 사찰벽화 소재로 살펴본 불전의 성향
1. 연지회상과 삼종실지 범자문의 차용
2. 칠성신앙과 28수 별자리의 의인화
3. 석가모니불 소재의 『석씨원류응화사적』
IV.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키워드
- 사찰벽화(寺刹壁畵)
- 영남지역(嶺南地域)
- 불전(佛殿)
- 위계(位階)
- 수직·수평(垂直·水平)
- 좌우대칭(左右對稱)
- 석씨여래응화사적(釋氏源流應化事蹟)
- 삼종실지(三種悉地)
- mural painting of buddhist temple
- Yeongnam region
- Buddha Hall
- hierarchy of buddhist realm
- vertical·horizontal
- symmetrical arrangement
- Seokssiwonlyueunghwasajeok
- Samjongsilji
- 寺刹壁畵(mural painting of buddhist temple)
- 嶺南地域(Yeongnam region)
- 佛殿(Buddha Hall)
- 位階(hierarchy of buddhist realm)
- 垂直·水平(vertical·horizontal)
- 左右對稱(symmetrical arrangement)
- 釋氏源流應化事蹟(Seokssiwonlyueunghwasajeok)
- 三種悉地(Samjongsilji)